서울·대도시 기준 5G 다운로드 1위…삼성과 성능개선 TF 운영 주효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디지털데일리 채성오기자] 지난해 통신 3사 중 서울 지역 5세대 이동통신(5G) 품질 평가에서 전송속도(다운로드) 기준 최하위를 기록했던 KT가 올해 1위를 차지하며 극적인 반등에 성공했다. KT는 단말기 제조사인 삼성전자와의 협업 등 지속적인 망 투자 등 품질향상 노력을 통해 통신 품질을 단기간 내 향상시켰다고 설명했다.
30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유상임)와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NIA)이 발표한 '2024 통신서비스 커버리지 점검 및 품질평가'에 따르면, KT는 17개 권역별 5G 다운로드 속도 중 서울에서 1170.07Mbps를 기록해 SK텔레콤(1169.84Mbps)와 LG유플러스(1167.63Mbps)보다 빠른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 지역 기준 KT와 SK텔레콤의 속도 격차는 근소하지만, 지난해 동일 조사 결과를 보면 큰 변화를 체감할 수 있다. 지난해 서울 지역 5G 다운로드 속도는 SK텔레콤(1101.37Mbps), LG유플러스(1099.79Mbps), KT(1076.71Mbps) 순으로 집계됐다. 당시 LG유플러스가 5G 주파수 대역 3.40~3.42㎓ 20㎒ 폭을 확보함에 따라 5G 품질을 대폭 개선할 수 있었고, 이에 따라 KT는 3위로 밀려난 바 있다.
KT는 올해 조사에서 서울 지역 외에도 6개 광역시 중 부산(1204.80Mbps)과 대구(1218.55Mbps)에서도 5G 다운로드 속도 1위를 차지했다. 광주(1235.37Mbps)·대전(1029.40Mbps)·울산(1042.47Mbps)에선 SK텔레콤이 1위를 기록한 반면 5G 다운로드 속도가 17개 권역 중 가장 높은 인천의 경우 LG유플러스가 1284.32Mbps로 최고 속도를 나타냈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이처럼 KT가 서울 및 대도시에서 5G 다운로드 속도를 크게 높일 수 있던 것은 '제조사와의 단계적인 협업'과 '5G 무선국 투자 전략'에 따른 것이다.
KT는 올 초부터 국내 최대 스마트폰 제조사인 삼성전자와 '기지국 성능개선 태스크포스(TF)'를 운영해 품질개선에 집중했다고 설명했다. 양사 엔지니어들이 협업해 KT 기지국에 성능 개선을 적용해 온 데다, 삼성전자 비율이 높은 KT의 5G 품질개선 효과가 높아지는 결과로 이어졌다는 분석이다. 5G 기지국 제조사별 커버리지 및 비율을 보면 삼성전자의 경우, KT가 높은 것으로 알려졌다.
5G 무선국 투자 가운데 실내 시설을 중점적으로 투자한 부분도 KT가 서울·대도시에서 속도 향상을 이룰 수 있었던 결정적 배경으로 꼽힌다. 정부가 올해 품질평가에서 이용자가 많은 실내 시설을 집중 점검하겠다고 발표했던 만큼, 실내 시설에 망 투자 비중을 높인 것이 속도 향상으로 이어진 모습이다.
KT 관계자는 "지속적인 투자와 적극적인 품질향상 활동으로 올해 서울 및 대도시에서 5G 다운로드 속도 1위를 기록했다"며 "5G 다운로드 속도 상위 국소와 하위 국소가 가장 적어 전국적으로 고른 품질을 제공하고 있다"고 말했다.
- Copyright ⓒ 디지털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