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그렇다면 원인 중 하나로 지목된 콘크리트 둔덕은 무엇인지 살펴보겠습니다. 전해드린 것처럼 이 둔덕은 여객기의 착륙을 돕는 안테나, 로컬라이저를 지지해 주는 역할을 합니다. 일단 설치해야 하는 위치가 국토부 매뉴얼을 어긴 걸로 확인됐습니다.
먼저 임지수 기자입니다.
[기자]
동체 착륙한 여객기는 속도를 줄이지 못하고 활주로를 넘어 안전 구역으로 밀려갔습니다.
그리고 콘크리트 구조물을 들이받았습니다.
이 구조물, 활주로 끝단에서 264m 떨어진 곳에 있었습니다.
흙더미로 둘러싸인 두터운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로 이뤄졌습니다.
좌우 길이 58m, 높이는 4m 정도였습니다.
이 구조물 위에 로컬라이저 안테나라는 장치를 설치했습니다.
비행기가 착륙할 때 중앙선에 맞추도록 신호를 보내는 장비입니다 둔덕을 쌓은 이유는 활주로와 수평 높이를 맞추기 위한 걸로 보입니다.
안테나 지지대 토대는 지표면과 같은 높이어야 하는데 무안 공항은 활주로 끝단이 지난 뒤 지면이 낮아집니다.
[박찬근/한국항공대 교수 : 둔덕을 쌓고 그 구조물을 올려서 활주로랑 같은 높이로 맞추지 않았을까 그렇게 보입니다.]
충돌 가능성이 있는 장애물이 생겼는데 안전거리도 확보하지 못했습니다.
국토부 매뉴얼(항행 안전시설 보호 업무 매뉴얼)에 따르면 안테나는 활주로 말단에서 300~600m 사이 지점에 설치해야 합니다.
[박찬근/한국항공대 교수 : 무안공항은 포장돼 있는 면이 다른 공항보다 런웨이 끝나고 나서 포장돼 있는 면이 짧다 보니까.]
결과적으로 이 단단한 구조물에 충돌해 여객기는 폭발했습니다.
지표에 안테나만 설치됐거나 구조물을 뚫고 갈 수 있었다면 참사는 막을 수 있었을 가능성이 큰 겁니다.
국토부는 비슷한 사례가 많다면서도 자세한 규정은 파악 중이라고 했습니다.
[주종완/국토부 항공정책실장 : 해외 사례도 미국의 LA공항이 콘크리트를 이용해서 높이 올렸고요. 규정들에 대해선 파악하고 말씀 드리겠습니다.]
안전을 위해 만든 시설 때문에 안전이 위협받았습니다.
임지수 기자
JTBC의 모든 콘텐트(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Copyright by JTBC All Rights Reserved.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