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1.04 (토)

이슈 치료제 개발과 보건 기술

비만치료제 기전 밝힌 최형진 서울대 교수, 이달의 과학기술인상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GLP-1 치료제, 식욕억제 원리 밝혀


매일경제

최형진 서울대 뇌인지과학과 교수. [사진=과학기술정보통신부]


뇌과학 융합연구로 비만치료제의 식욕억제 기전을 규명한 최형진 서울대 뇌인지과학과 교수가 이달의 과학기술인상 1월 수상자로 선정됐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연구재단은 1일 이달의 과학기술인상 1월 수상자를 발표했다. 이달의 과학기술인상은 우수한 연구개발 성과로 과학기술 발전에 공헌한 연구개발자를 매월 1명씩 선정해 과기정통부 장관상과 상금 1천만 원을 수여하는 상이다.

최 교수는 대사질환과 심뇌혈관 치료제로 알려진 글루카곤 유사 펩타이드-1(GLP-1)의 식욕억제 기전을 규명했다. GLP-1은 식사 후 장(腸)에서 분비되어 인슐린 분비를 촉진하고 식욕을 억제하는 호르몬이다.

그동안 이 호르몬의 유사체인 GLP- 1 기반 치료제는 2005년 당뇨병 치료제로, 2014년에는 비만치료제로 미국 FDA의 승인을 받아 세계적으로 널리 사용되어 왔다.

최근에는 GLP-1 기반 비만치료제들이 강력한 체중 감소 효과와 함께 심혈관 질환을 낮추는 효과가 입증되며 꾸준히 수요가 늘고 있으나, GLP-1이 뇌의 어느 부위에서 작용하여 식욕을 억제하는지에 대한 기전이 명확히 밝혀진 바가 없었다.

최 교수는 GLP-1이 뇌의 시상하부에 작용해 음식을 인지하는 것만으로도 포만감을 유발하고 식욕을 억제한다는 사실을 규명했다. 사람의 뇌 조직에서 GLP-1 수용체의 분포를 분석한 결과, 시상하부 신경핵에서 높은 발현을 확인한 것이다.

GLP-1 수용체 신경을 인위적으로 활성화하면 즉각적인 식사 중단을 유도하고, 반대로 억제 시 식사가 지속됨도 확인했다. 연구결과는 국제학술지 ‘사이언스’에 게재됐다.

최 교수는 “이번 연구는 식욕이 뇌에서 어떻게 조절되고, GLP-1 식욕억제제가 어떻게 작동하는지를 뇌과학 도구를 활용하여 규명한 점에서 의의가 크다”며 “앞으로 현대인들의 대사질환 발병 원인을 규명하고 새 식욕억제제 개발에 도전하겠다”고 밝혔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