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1.08 (수)

제주항공 사고 블랙박스, 미국으로 이송한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비행기록장치, 미국으로 이송해 분석 착수
한미 합동조사팀, 현장 조사 본격화
로컬라이저 규정 위반 여부 집중 조사
희생자 신원 확인 완료…유가족 지원 지속


파이낸셜뉴스

1일 오전 전남 무안군 무안국제공항 제주항공 여객기 참사 현장 부근에서 해가 떠 오르고 있다. 연합뉴스 제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파이낸셜뉴스

고 항공기에서 회수한 비행기록장치(FDR). 국토교통부 제공


파이낸셜뉴스

사고 항공기에서 회수한 비행기록장치(FDR). 국토교통부 제공


[파이낸셜뉴스] 제주항공 2216편 사고로 인해 파손된 비행기록장치(FDR)가 미국으로 이송돼 분석될 예정이다. 항공철도사고조사위원회는 국내에서 자료 추출이 불가능하다고 판단해 미국 교통안전위원회(NTSB)와 협의해 자료 분석 방안을 마련했다.

1일 국토교통부 주종완 항공정책실장은 지난해 12월 29일 발생한 제주항공 2216편 사고와 관련해 “FDR의 커넥터가 분실돼 국내에서 데이터 추출이 불가능한 상태로 확인됐다”며 “미국으로 이동해 NTSB와 협력해 분석을 진행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분실된 커넥터는 분석컴퓨터와 연결하는 지점을 뜻한다.

구체적인 이송 일정과 한국 조사팀의 참여 인원이 확정되는 대로 즉시 출발할 계획이다. 여기에는 한국 측 사조위가 동행할 것으로 전해졌다.

FDR과 함께 탑재된 음성기록장치(CVR) 자료는 이미 추출이 완료된 상황이다. 현재는 음성파일 형태로 변환하는 작업이 진행 중이다. 이 작업은 약 이틀 정도 소요될 것으로 전망된다.

전날 밤에는 미국 보잉사 측에서 2명이 추가로 입국했다. 현재 한국 항공철도사고조사위원회 12명과 미국 조사팀 10명으로 구성된 한미 합동조사팀이 현장 조사를 진행 중이다. 미국 측에는 연방항공청(FAA) 1명, 교통안전위원회(NTSB) 3명, 항공기 제작사 보잉 6명이 포함됐다. 이들은 공항 내 임시본부를 마련하고 현장조사를 진행 중이다?.

조사팀은 이날부터 사고기 기체와 엔진의 잔여 상태, 조류 충돌 흔적 등을 육안으로 조사할 계획이다.

특히 1차 착륙 당시 랜딩기어의 작동 여부와 관련된 증언들을 종합해 조사에 나설 방침이다. 국토부 관계자는 “관제사의 교신 내용과 블랙박스에서 추출된 데이터를 통해 정확한 착륙 지점을 확인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사고 원인 중 하나로 거론된 활주로 끝단 로컬라이저의 재질과 위치에 대한 조사는 계속되고 있다. 국토부는 “로컬라이저 설치와 관련된 규정 위반 여부를 조사 중이며, ICAO 국제 기준에 따른 관련 시설 전수조사를 진행하고 있다”고 밝혔다. 또한 시공을 담당한 금호건설의 공법에 대해서도 조사하고 있다.

한편 제주항공 2216편 사고로 인한 사망자 총 179명에 대한 모든 신원 확인이 완료됐다. 사망자 168명은 임시 안치소에 보관 중이며 11명은 장례식장으로 이송됐다.

무안공항 내에는 합동분향소가 설치돼 유가족 조문을 지원하고 있다. 통합지원센터는 유가족들에게 1:1 전담반을 운영하며, 의료, 심리, 법률 상담 등의 지원을 지속적으로 제공 중이다.

west@fnnews.com 성석우 기자

Copyrightⓒ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