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연평균기온 14.5도
평년보다 ‘덥지 않았던 달’ 없어
지구 기온도 ‘역대 1위’ 전망
평년보다 ‘덥지 않았던 달’ 없어
지구 기온도 ‘역대 1위’ 전망
작년 8월 19일 열화상 카메라 모듈로 촬영한 서울 남산에서 바라본 서울 도심이 붉게 표시돼 있다. [사진 = 연합뉴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지난해 우리나라 연평균 기온이 사상 처음 14도를 돌파한 것으로 나타났다.
1일 기상청 기상자료개방포털에 따르면 작년 평균기온은 14.5도로 재작년(13.7도)에 이어 2년 연속 ‘1973년 이후 연평균 기온 신기록’을 갈아치웠다. 1973년은 기상관측망이 대폭 확충돼 각종 기상기록 기준점이 되는 해다.
한 해 평균기온이 14도를 넘기는 작년이 처음이다. 지난해 평균기온은 평년(1991∼2020년 평균) 연평균 기온(12.5±0.2도)을 2도나 웃돌았다.
일최저기온과 일최고기온 연평균 값도 지난해가 가장 높았다. 평균 최저기온은 9.9도로 10도에 육박했고 평균 최고기온은 19.7도로 20도에 근접했다. 최저기온과 최고기온도 평균기온과 마찬가지로 재작년에 연이어 신기록을 경신했다.
다만, 기온 기록은 기상청이 관측값 재검증을 거쳐 공식 발표할 때 달라질 수 있다.
지난여름 기온이 40도를 기록(8월 4일 경기 여주시 점동면)한 사례가 있을 정도로 최악의 폭염이 나타났다. 작년 열두 달 중 평균기온이 평년기온보다 낮은 달은 단 한 달도 없었다.
특히 늦더위가 지루하게 이어진 9월은 평균기온(24.7도)이 평년기온(20.5도)보다 4.2도나 높았다. 예년 기온을 지킨 달은 5월인데 이때도 평균기온(17.7도)이 평년기온(17.3도)을 0.4도 상회했다.
지난해 ‘덥지 않은 달’이 없었기에 기온 신기록이 수립된 것이다.
더웠던 근본적인 원인으로는 기후변화 때문이다. 국내 연평균 기온 순위를 보면 상위 10위 중 1998년(5위)과 1990년(10위)을 제외하고 모두 2000년 이후다. 2020년부터 작년까지 5년은 역사상 제일 뜨거웠던 5년이라고 할 수 있다.
2024년(연평균 기온이 역대 1위), 2023년(2위), 2021년(4위), 2020년(7위) 등 4개년은 열 손가락에 꼽힐 정도로 기온이 높았다.
유럽연합(EU)의 기후변화 감시 기구인 코페르니쿠스 기후변화연구소(C3S)에 따르면 작년 1∼11월 평균 지구 표면 기온이 1991∼2020년 평균보다 0.72도 높았다. 이는 아직 산업화 이래 가장 뜨거웠던 해인 재작년 같은 기간 온도보다 0.14도 높은 수준이다.
연구소는 작년 지구 기온이 사상 처음 산업화 이전보다 1.5도 이상 높아 역대 가장 뜨거운 해가 될 것이 확실하다고 밝혔다. ‘1.5도 상승’은 인류가 설정한 일종의 마지노선인데 이것이 뚫린 셈이다.
과학자들은 산업화 이전 대비 지구 온도 상승 폭이 일시적으로 1.5도를 넘는 ‘오버슈트’만으로도 전 지구에 돌이킬 수 없는 영향이 남을 수 있다고 우려한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