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산은 15억원 넘게 벌어져…격차 줄이기 ‘조세·근로 정책’ 시급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지난해 소득 상위 10%와 하위 10% 가구 간 소득 격차가 처음으로 연 2억원을 넘어섰다. 자산 격차는 15억원 넘게 벌어졌다. 소득 격차가 자산·교육·건강 격차로 확대되는 것을 막기 위한 조세·근로 정책 설계가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5일 통계청 가계금융복지조사와 국가통계포털(KOSIS)을 보면, 지난해 가구 소득 상위 10%(10분위)의 연평균 소득은 2억1051만원으로 집계됐다. 전년(1억9747만원)보다 1304만원(6.6%) 늘어 관련 통계를 시작한 2017년 이래 처음 2억원을 넘어섰다. 소득 하위 10%(1분위)의 연평균 소득은 1019만원이었다. 전년보다 65만원(6.8%) 늘었지만 소득 격차는 더욱 커졌다. 상·하위 10% 간 소득 격차는 2억32만원으로, 처음으로 2억원을 넘어 역대 최대치를 기록했다.
고소득자의 임대·이자·배당 수익 등 재산소득이 불어나며 격차가 벌어진 것으로 분석된다. 소득 상위 10%의 재산소득이 전년 대비 급증해 459만원(24.7%) 늘었다. 이어 사업소득(262만원)과 근로소득(572만원)도 각각 7.5%, 4.1%씩 올랐다. 성과급 등으로 대기업·중소기업 간 임금 격차가 확대된 영향이다.
상·하위 10% 간 자산 격차도 15억원 이상으로 벌어졌다. 지난해 소득 상위 10%의 자산은 16억2895만원이었고, 소득 하위 10%는 1억2803만원에 그쳤다.
통계청의 ‘2024년 가계금융복지조사’를 보면, 지난해 3월 말 기준 상위 10%가 전체 가계 순자산의 44.4%를 차지했다. 하위 50% 가구의 순자산 점유율은 9.8%에 불과했다. 순자산 지니계수 역시 2017년 0.584에서 지난해 0.612로 올라갔다. 지니계수는 계층 간 불균형 정도를 나타내는 지표로 평등할수록 0에, 불평등할수록 1에 가까워진다.
한국조세재정연구원은 지난해 5월 ‘지속가능한 사회를 위한 고찰: 양극화 완화를 위한 조세정책에서 정치철학까지’ 보고서에서 “부유층 또는 고소득층으로부터 세금을 많이 거두어 취약계층을 지원하는 누진세제가 기본적인 양극화 해법”이라며 “정치적 타협을 통해 사회적 공감대를 형성하고 적절한 누진과세 제도와 금융 비대화 완화 등 다양하고 구체적인 제도 설계가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정세은 충남대 경제학과 교수는 “소득 양극화가 자산 양극화를 부르고, 이후 공간(부동산)과 교육의 양극화로 이어지는 다중 격차 사회로 넘어가고 있다”면서 “재산세의 누진성을 강화하는 조세재정 정책이 필요하다”고 했다.
김세훈 기자 ksh3712@kyunghyang.com
▶ 매일 라이브 경향티비, 재밌고 효과빠른 시사 소화제!
▶ 계엄, 시작과 끝은? 윤석열 ‘내란 사건’ 일지 완벽 정리
©경향신문(www.khan.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