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자정부 연도별 수출실적/그래픽=이지혜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우리나라 전자정부 시스템의 수출액이 3년 연속 5억달러를 돌파했다. 2017년 이후 6년 연속 증가세다. 개발도상국의 디지털정부 수요증가에 더해 한국의 전문성이 높은 평가를 받은 결과다. 여기에 AI(인공지능)와 데이터기술 기반의 '거브테크'(GovTech)가 주목받으며 우리의 선제적인 디지털플랫폼정부(DPG) 정책추진 효과에도 관심이 쏠린다.
7일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NIA)에 따르면 2023년 전자정부 수출액은 5억7925만달러로 전년 대비 10.6% 늘었다. 기존 수출액 최고기록(2015년 5억3404만달러)을 8년 만에 경신했다.
전자정부 수출이란 해외 정부가 전자정부 구현에 필요한 인적·물적·지적 자원을 제공하는 행위를 뜻한다. 우리나라의 디지털정부 역량을 바탕으로 국내 ICT(정보통신기술) 인프라 기업과 소프트웨어 중소기업의 해외진출도 한꺼번에 도모할 수 있다.
2023년 수출건수는 266건, 진출국가는 62개국으로 전년 대비 각각 48건, 8개국 감소했다. 다만 진출업체(기관)는 221곳으로 9개사 증가했다. 지역별 수출금액 비중은 아프리카(32.7%)와 아시아(32.2%)가 높고 유럽(15.1%)과 북미·중남미(11.8%)가 뒤를 이었다. 분야별로는 국가인프라, 공공안전, 경제활동, 정보화, 지식활동 순이다.
특히 우리나라의 수출액은 2010년대 후반 2억달러 수준으로 감소했다가 2017년부터 6년 연속 증가세다. 코로나19 대유행을 계기로 각국 정부의 디지털전환 수요가 증가하고 기술력을 갖춘 국내 기업들의 해외활동이 늘면서 수출규모가 더 커졌다.
전자정부 수출액이 우리나라의 공적개발원조(ODA)와 대외협력경제기금(EDCF) 등 예산에 상당부분 기대기 때문에 '수출'이란 표현이 어울리지 않는다는 견해도 있다. 하지만 대외원조자금으로 수혜국 인프라 시스템을 구축하면 이후 참여기업들의 유지·보수 및 추가 사업기회의 마중물로 작용해 수출 연속성을 높이게 된다. 더욱이 수출재원 중 해외자금 비중은 2022년도 3.6%에서 이듬해 16%로 급등했다.
우리나라의 수출액은 관련 기업의 연간 실적을 취합하는 만큼 지난해 기준 수출액은 아직 집계되지 않았다.
업계에선 한 단계 진화한 DPG 정책의 성과가 현실화했을 것이라고 기대한다. 2023년 11월 DPG 수출지원 민관 협의체 '글로벌DPG얼라이언스'가 발족했으며 같은 해 10월 DPG 수출 1호 성과인 사우디아라비아의 디지털플랫폼 구축사업에 SK텔레콤·네이버·카카오 등 대기업은 물론 관련 기술을 보유한 중소기업도 대거 참여했다.
한편 세계은행은 디지털정부의 차세대 발전모델로 '거브테크'를 제시하면서 시장규모가 2028년 1조2000억달러에 이를 것이라고 전망했다.
변휘 기자 hynews@mt.co.kr
ⓒ 머니투데이 & mt.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