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4월23일 아소 다로 전 일본 총리가 미국 뉴욕주 맨해튼의 트럼프타워에서 도널드 트럼프 당시 미 대선 후보를 만나고 있다. 뉴욕/AP 연합뉴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일본에선 도널드 트럼프 집권 2기 시작에 위기감을 느끼면서도 한편으론 기회가 될 수 있다는 두가지 시선이 있다. 미국이 중국과 신냉전을 벌이는 와중에 동아시아 동맹의 핵심 축의 하나인 한국에 외교·안보를 이끌 사령탑이 부재한 상황이다. 그만큼 일본의 책임과 역할이 커질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
하지만 당장은 트럼프 당선자가 이미 예고한 대로 미국 우선주의와 보호주의에 따른 우려가 앞서고 있다. 일본 미쓰비시종합연구소(MRI)는 지난 1일 ‘트럼프 2.0의 미국·세계 경제 영향과 일본의 대비’ 보고서에서 트럼프 당선자가 공약했던 대중국 60% 관세와 일괄 20% 추가 관세가 시행될 경우, 전세계 국내총생산(GDP)을 1.0%포인트 끌어내릴 것으로 추산했다. 연구소는 “일괄 20% 관세는 일본 국내총생산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끼치고, 일본 기업의 조달비에도 비용 증가를 초래할 것”이라며 “트럼프 관세가 세계 경제에 제동을 걸 것”이라고 우려했다. 한국 못지않게 일본에 대한 미국의 방위비 증액 압박도 강해질 것으로 전망된다. 일본은 지난달 확정한 2025년 예산안에서 방위비를 역대 최대인 8조705억엔으로 정해 국내총생산의 2% 규모로 접근하도록 했다. 하지만 트럼프 당선자가 최근 ‘일본 방위비 예산의 국내총생산 3% 규모 인상’을 주장해온 엘브리지 콜비를 국방부 정책차관에 임명하자 방위비 증가 압력 확대를 예고한 것이란 우려가 커지고 있다.
반면 트럼프식 우선주의 여파가 한국이나 일본에는 상대적으로 적을 것이라는 분석도 있다. 미국 보수 성향 싱크탱크 ‘허드슨연구소’의 케네스 와인스타인 일본 석좌는 지난달 일본 엔에이치케이(NHK) 방송 인터뷰에서 “중국은 미국에 군사·경제적으로 위협적인 존재지만, 일본은 (중국과 달라) 전혀 다른 취급을 받게 될 것”이라며 “트럼프 정부가 요구하는 건 ‘관세를 동등하게 하라’는 압박인데, 일본 기업들이 미국에 막대한 투자를 하는데다 여러 산업에서 협력을 통해 관세를 최소화할 수단을 갖고 있다”고 풀이했다.
트럼프식 보호무역 여파로 미국 내 생산 시설을 갖추는 과정에서 인프라 정비와 설비·부품 분야의 한·일 기업들에 오히려 새 발판이 될 수 있다는 전망도 있다. 또 미국의 강력한 제재로 중국이 차지하던 세계 시장이 축소되는 것도 다른 나라에 기회 요소가 될 것이란 분석이 나온다.
도쿄/홍석재 특파원 forchis@hani.co.kr
▶▶한겨레는 함께 민주주의를 지키겠습니다 [한겨레후원]
▶▶한겨레 뉴스레터 모아보기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