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서초동 대법원. /조선일보DB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대법원 3부(주심 이흥구 대법관)는 이날 민주사회를 위한 변호사 모임(민변)의 송기호 변호사가 대통령기록관장을 상대로 낸 정보 비공개 처분 취소 청구 소송 상고심에서 원고 패소로 판결한 2심 판결을 깨고 사건을 서울고법으로 돌려보냈다.
대법원은 “원심의 판단에는 이 문서에 대한 대통령지정기록물 지정행위의 적법 여부에 관한 판단을 누락하거나, 필요한 심리를 다하지 않아 판결에 영향을 미친 잘못이 있다”며 “원심은 피고에 대해 이 문서가 대통령기록물법 제17조 제1항 각 호 중 어느 사유에 해당하는지 구체적으로 내용을 살펴보고, 적법하게 대통령지정기록물로 지정되고 보호기간이 정해졌는지에 관한 심리를 거쳐 판단했어야 한다”고 지적했다.
앞서 송 변호사는 2017년 5월 대통령기록관장에게 ‘대통령 권한대행이 보호기간을 정해 국가기록원에 이관한 대통령지정기록물 중 세월호 참사가 발생한 2014년 4월 16일 대통령비서실, 대통령경호실, 국가안보실에서 세월호 승객을 구조하기 위한 공무 수행을 위해 생산하거나 접수한 문서의 목록’에 대한 정보 공개를 청구했다.
1심은 “정보 공개 청구 대상은 대통령비서실 등이 공무 수행을 위해 생산한 문건 목록에 불과하다”면서 “관련 법상 지정기록물의 요건을 갖추지 못했다”고 판단하며 원고 승소로 판결했다.
하지만 이날 대법원은 파기환송 판결을 내리며 다시 사건을 들여다봐야 한다고 결론을 내렸다. 대법원 관계자는 “이 판결은 대통령에게 높은 수준의 재량이 인정되는 행위라고 하더라도, 그것이 국회가 제정한 법률에 근거해 이루어지는 행위인 이상 사법심사의 대상에서 제외될 수 없다는 헌법상 권력분립의 원칙을 재확인한 결과”라며 “국민의 재판청구권 보장을 위해 대통령기록물법의 적용범위를 제한했다는 의의도 있다”고 설명했다.
[박강현 기자]
- Copyrights ⓒ 조선일보 & chosun.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