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일 국회 기재위 현안질의
與 "내수부진, 추경 요건 아냐…재정 부담에 신중해야"
野 "경기 회복 위해 35조원 빠른 시일 내 편성해야"
기재차관 "20일 국정협의회서 논의 기대"...즉답 피해
올해 경제성장률이 1%대 중반에 머물 것으로 전망되고 고용절벽이 이어지고 있지만, 정치권 공방에 적기를 놓치는 것이 아니냐는 우려가 제기된다.
[이데일리 노진환 기자] 김범석 기획재정부 제1차관이 18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기획재정위원회 전체회의에 출석, 의원들의 질의에 답변하고 있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추경 두고 ‘공방’…정부는 국정협의회에 책임 넘겨
18일 국회에서 열린 기획재정위원회 현안질의에서 여당은 최근 내수 부진이 추경 편성의 요건에 부합하지 않는다는 의견을 제시했다.
그러나 이종욱 국민의힘 의원은 “그 기준에서 보면 사실 경제가 힘들긴 하지만, (GDP 성장률) 숫자는 추경 요건에 부합하지 않는다”며 “한국개발연구원(KDI)도 (올해 성장률 전망치인) 1.6%가 추경 요건에 부합하지 않는다는 의견을 냈다”고 반박했다.
야당에서는 경기 회복을 위해 35조원 규모의 추경 편성을 해야 한다고 재차 주장했다. 더불어민주당은 13조원 규모의 지역화폐 지급 방안을 포함한 35조원 규모의 추경을 정부·여당에 제안한 바 있다.
안도걸 민주당 의원은 잠재성장률과 실제성장률 전망치의 격차인 GDP갭을 추경의 근거로 제시하며 “올해 성장률을 국제 투자은행(IB) 평균인 1.6%로 보면 잠재성장률 2.0%와 차이인 0.4%포인트를 채워야 하고, 이를 위한 추경 소요가 30조~40조원 정도”라고 설명했다.
이날 기재위에 참석한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는 최근 국내 정치 상황과 대외 변수 등을 고려했을 때 필요한 추경 규모로 15조~20조원을 제시했다. 추경을 통해서 경제성장률을 인위적으로 올리는 것보다는, 당초 예상치보다 떨어진 0.2%포인트를 보완하는 규모가 적절하다는 판단이다.
[이데일리 노진환 기자] 이창용(왼쪽) 한국은행 총재가 18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기획재정위원회 전체회의에 출석, 회의가 시작되기 전 유상대 한국은행 부총재와 대화하고 있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상속세 개편 논의, 정부는 “환영”…여야 힘겨루기 지속
야당을 중심으로 다시 떠오른 상속세 개편 논의와 관련해 정부는 환영하는 입장을 밝혔지만, 최고세율 인하 등을 두고는 여야가 힘겨루기를 이어갔다.
김범석 기재부 1차관은 “최근에 전체 세수에서 상속세가 차지하는 지분이나 자본의 해외 유치 같은 부분들을 고려했을 때 20년이 넘은 세제에 대해 고쳐나가야 할 부분이 있다”고 강조했다.
하지만 여당은 최고세율 인하를 요구하며 야당을 직격했다. 박성훈 국민의힘 의원은 “이재명 대표는 가업승계 부담 완화나 상속세 최고세율 인하는 ‘부자감세’라면서 여전히 반대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며 “전형적인 갈라치기 접근”이라고 비판했다.
기재위는 이날 반도체 기업의 통합투자 세액공제율을 5%포인트 더 올리는 내용의 조세특례제한법 개정안을 의결했다. 신성장·원천기술(미래형 자동차, 차세대 소프트웨어 등 14개 분야)과 국가전략기술(이차전지, 수소, 바이오 등 7개)에 적용하는 연구개발 비용 세액공제 기한을 2029년 말까지 5년 연장하는 법안도 처리했다.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