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4.04 (금)

이슈 차세대 스마트폰

“3㎜대 삼중 폴더블폰부터 은하수 패턴 조명까지”… 中, MWC 2025서 모바일 트렌드 주도 나서

0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화웨이의 삼중 폴더블폰 '메이트 XT'./화웨이 제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다음 달 3일(현지시각) 스페인 바르셀로나에서 개막하는 세계 최대 모바일 전시회 ‘모바일월드콩그래스(MWC) 2025’에서 화웨이, 테크노, 샤오미 등 중국 스마트폰 제조사들이 삼중 폴더블폰을 전면에 내세울 예정이다. 중국 기업들은 3㎜대 두께의 초박형 제품과 겉면에 은하수 패턴을 구현할 수 있는 광섬유 기술을 적용한 제품으로 올해 MWC에서 모바일 기술 트렌드 주도에 나설 것으로 보인다.

26일 업계에 따르면 화웨이는 삼중 폴더블폰 ‘메이트 XT’를 MWC 2025에 전시할 예정이다. 메이트 XT는 펼쳤을 때 10.2인치 화면을 구현할 수 있지만, 두께는 3.6㎜로 얇은 것이 특징이다. 펼쳤을 때 두께가 5.6㎜인 갤럭시Z 폴드6보다 2㎜ 얇다.

메이트 XT는 세계 최초로 출시된 삼중 폴더블폰으로 스마트폰 업계의 이목을 끌었다. 지난해 9월 출시되자마자 중국 현지에서 예약 구매 300만건을 넘겼고, 중고 시장에서 공식 판매가에 2000~3000위안(40만~60만원)의 프리미엄이 붙기도 했다.

테크노가 공개한 스마트폰 광섬유 조명 기술./테크노 제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테크노도 올해 MWC에서 삼중 폴더블폰을 전면에 내세울 계획이다. 테크노가 전시할 ‘팬텀 얼티메이트 2’는 겉면에 광섬유가 적용돼 은하수 디자인 등 다양한 패턴의 조명 효과를 구사할 수 있다. 테크노는 팬텀 얼티메이트 2에 자체 개발한 인공지능(AI) 기능도 적용할 것으로 예상된다.

샤오미도 최초의 삼중 폴더블폰인 ‘믹스 트리폴드’를 공개할 것으로 관측된다. 믹스 트리폴드는 테두리에 전원, 볼륨 등 물리적 버튼이 없는 디자인이 적용될 것으로 보인다. 산간지역, 섬 등 오지에서 통신할 수 있는 위성통신 기능도 갖출 것으로 업계는 전망하고 있다. 샤오미는 다음 달 초 스마트폰 신제품을 글로벌 시장에 공개한다고 밝힌 바 있다.

삼성전자도 올해 삼중 폴더블폰을 공개해 중국 제조사와의 경쟁을 본격화할 전망이다. IT 매체 폰아레나 등 외신에 따르면 삼성전자는 오는 7월 진행할 갤럭시Z 폴드·플립7 시리즈 언팩(출시) 행사에서 ‘갤럭시 G’라는 이름의 삼중 폴더블폰을 공개할 것으로 관측된다.

지난해 2분기 삼성전자는 세계 폴더블폰 시장에서 16.4%의 점유율로 화웨이(27.5%)에 밀려 2위를 기록했다. 중국 폴더블폰 시장에서는 화웨이가 41%(2024년 3분기 기준)의 점유율로 1위를 차지하고 있다. 아너는 21.9%로 2위를, 샤오미는 17.2%로 3위를 기록 중이다.

남상욱 산업연구원 부연구위원은 “삼중 폴더블 스마트폰은 아직 내구성, 기능 측면에서 다양한 문제가 있지만, 관련 기술을 선점한 중국 제조사들이 향후 우위를 점할 확률이 높은 분야”라고 했다.

김민국 기자(mansay@chosunbiz.com)

<저작권자 ⓒ ChosunBiz.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조선비즈 주요 뉴스

해당 언론사로 연결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