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디지털데일리 옥송이 기자] 디스플레이 '동서남북'. MWC25에서는 동서남북 종이접기마냥 각종 디스플레이를 자유자재로 접는 기술의 향연이 펼쳐졌다.
"어라? 화웨이 말고도 3단 폴더블폰이 있었어?"
5일(현지시간) MWC25 전시장 내 대만 미디어텍 부스를 찾았다. 대표 반도체 칩셋인 디멘시티 라인업을 비롯해 5G 기술 시연 등이 마련돼 있었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해당 제품은 테코노의 '팬텀 얼티메이트2'. 출시되지 않은 콘셉트폰으로, 미디어텍 디멘시티 9000시리즈와 디스플레이를 사용했다. 기본형 폴더블을 넘어 두 번 접는 3단형 폴더블까지 접어든 트렌드에 맞춰 디멘시티도 기술력을 강조한 것이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폴더블 기술력으로 단연 주목 받은 곳은 중국 화웨이. 이미 중국 내수에서 출시된 제품임에도 불구, 3중 폴더블폰 '메이트 XT'를 살피려는 인파가 줄을 이었다. 너도나도 해당 제품을 관람하기 위해 대기해야 하는 모습도 볼 수 있었다. 화웨이는 부스에서 슬림형 2단 폴더블폰인 '메이트 X6'도 공개했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각종 제조사들이 새로운 폴더블을 마련하는 가운데, 삼성전자의 차세대 폴더블은 삼성디스플레이 부스에서 가늠할 수 있었다. 메이트 XT처럼 Z모양으로 접는 '플렉스 S'와 안으로 접는 '플렉스 Z'가 전시됐다. 콘셉트 제품이긴 하나, 삼성전자가 두 가지 형태의 3단 폴더블을 두고 저울질 하는 것으로 풀이된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한편, 삼성디스플레이는 신축성 있는 소재가 돋보이는 스트레처블도 선보였다. 영상 움직임에 따라 디스플레이가 움직이는 것이 특징이다. 공이 앞으로 쏠리듯 움직이는 식. 해당 제품은 향후 옷이나 가구 등 다양한 비정형 표면에 쓸 수 있어, 압도적 기술력으로 꼽힌다.
- Copyright ⓒ 디지털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