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일 서울 초미세먼지가 나쁨을 기록하는 가운데 남산을 찾은 시민들이 전망대에서 뿌연 대기에 잠긴 서울 시내를 바라보고 있다. 연합뉴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수도권과 충청권에 고농도의 초미세먼지(PM-2.5)가 나흘째 이어지고 있다. 10일 오전 이들 지역의 초미세먼지 농도는 60㎍/㎥를 웃돌았고 인천은 오후를 기점으로 70㎍/㎥를 초과하고 있다. ‘나쁨’(36~75㎍/㎥) 수준이지만, 거리에는 마스크를 쓰지 않는 사람이 많다. 하루평균 초미세먼지 농도가 100㎍/㎥ 넘던 2019년 3월 이후 대기질이 점차 개선되면서 경각심이 낮아진 영향이다.
하지만 초미세먼지의 위험성을 지적하는 연구 결과는 계속 나오고 있다. 10일 원주연세의료원은 초미세먼지가 신경계에 악영향을 줘, 우울증을 일으킬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국제 학술지 ‘국제분자과학저널’에 발표됐다고 밝혔다. 그동안 초미세먼지와 우울증의 연관성은 역학조사를 통해서 나타났지만, 신경계에서 벌어지는 우울증의 기전을 규명한 건 처음이라고 연구팀은 밝혔다.
━
신경회로 손상시킨 초미세먼지
뇌 신경회로 연구에 동원된 실험 쥐 자료사진. [중앙포토]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연세대 원주의대 이진희 교수(정신건강), 차승규 교수(생리학) 연구팀은 4주간 쥐 실험을 통해 초미세먼지가 뇌의 시상하부에서 산화스트레스와 소포체 스트레스를 증가시키는 모습을 관찰했다. 활성산소 농도가 증가해 정상세포를 손상시키는 산화스트레스는 세로토닌을 감소시켜 우울증을 유발할 수 있다. 잘못된 방식으로 단백질이 축적되는 소포체 스트레스 역시 세포 사멸을 유도해 우울증을 야기할 수 있다.
이런 변화를 겪은 실험쥐들은 실제 움직임이 더뎌지고, 위험을 회피해 이동할 때 필요한 기억력이 감소하는 등 무기력과 동기 부족에 해당하는 행동 변화를 보였다. 이는 우울증을 진단하는 행동 지표다.
━
12일까지 미세먼지…“마스크 써야”
8일 오전 서울 서초구 누에다리에서 바라본 반포대로와 예술의 전당 일대가 안개와 미세먼지에 갇혀 있다. 연합뉴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이진희 교수는 “초미세먼지가 신경세포뿐 아니라 신경회로에도 영향을 주는 만큼 초미세먼지 노출을 최소화해야 한다”며 “실내 대기질 관리를 철저히 하고 외출할 때는 마스크를 착용하는 등 보호조치를 강화해야 한다”고 말했다.
정은혜 기자 jeong.eunhye1@joongang.co.kr
▶ 중앙일보 / '페이스북' 친구추가
▶ 넌 뉴스를 찾아봐? 난 뉴스가 찾아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