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4.15 (화)

이슈 후쿠시마 오염수 방류

‘잊고 있던’ 日 원전 오염수, 오늘도 바다로…“올해 5만 4600t 방류” [핫이슈]

0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서울신문 나우뉴스]

2021년 2월 13일 일본 후쿠시마현 오쿠마초에 있는 후쿠시마 제1원전의 저장 탱크. 로이터 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일본 도쿄 전력이 후쿠시마 제1원자력 발전소의 오염수(일본 정부 명칭 처리수)의 11차 해양 방류를 시작했다.

후쿠시마TV는 12일(현지 시간) “오후 1시부터 처리수의 11차 해양 방류가 시작됐다”면서 “이번 방류는 2024회계연도(2024년 4월∼2025년 3월) 마지막 방류”라고 전했다.

도쿄전력은 오는 30일까지 이어지는 11차 방류에서 오염수 약 7800t을 바닷물로 희석해 바다로 방류할 예정이다.

2011년 3월 11일 발생한 동일본 대지진 당시 폭발한 건물에 빗물이 유입돼 방사성 물질을 만들어 내는 걸 방지하기 위해 발전소 주변에 방어막을 설치하는 작업이 13년째 이어지고 있다. 2024. 02. 11 AP 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앞서 지난 10차까지 방류된 오염수의 양은 약 7만 8300t으로, 탱크 78개 규모다. 이번 11차 방류까지 더하면 현재까지 바다로 흘러간 오염수의 양은 총 8만 5800t에 달한다.

도쿄전력은 2025회계연도(2025년 4월∼2026년 3월)에 총 7차례에 걸쳐 오염수 5만 4600t을 방류할 계획이다.

일본 당국과 도쿄전력은 바닷물과 수산물의 방사성 물질 삼중수소(트리튬) 농도가 국가 기준치를 밑돌았다고 밝혔다.

우리 정부는 지난 7일 오염수 11차 방류를 앞두고 “철저하게 모니터링하겠다”고 밝혔다.

김종문 국무조정실 국무1차장은 이날 브리핑을 통해 ”정부는 12일부터 이뤄질 방류에 대해 그간 대응과 마찬가지로 실시간 방류 데이터와 후쿠시마 인근 해역 삼중수소 농도 등을 철저하게 모니터링하겠다“고 밝혔다.

이어 “전문가 파견 활동 등을 통해 방류 상황을 꼼꼼히 확인하고 점검하는 등 국민 건강과 안전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서울신문

후쿠시마 제1원자력발전소 오염수 탱크. AFP 연합뉴스


한편 도쿄전력은 지난달부터 후쿠시마 제1원전 부지 내를 차지하고 있는 오염수 탱크 약 1000기의 해체 작업을 시작했다. 오염수 해양 방류가 시작된 뒤, 원전 내에는 오염수가 빠진 빈 탱크가 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1000기가 넘는 보관 탱크 중 우선 12기가 내년 3월 말까지 해체될 예정이다.

송현서 기자



    ▶ 재미있는 세상[나우뉴스]

    ▶ [페이스북]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