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 씨는 지난 18일 연합뉴스와의 통화에서 "절차적 정의, 절차적 정당성이 확보될 때는 당연히 승복할 것"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 |
한국사 강사 전한길 씨가 지난 12일 서울 여의도 국회 의원회관에서 열린 국민저항권 긴급 세미나에서 기조강연을 하고 있다. [사진=곽영래 기자]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이어 "2030 세대들이 원하는 법치, 공정, 상식에 근거한 사법적인 절차가 제대로 지켜졌을 때 승복할 것이다"라며 "절차적인 정당성이 확보되지 않으면 모든 책임은 헌법재판관들에게 돌아갈 것"이라고 덧붙였다.
아울러 "3·15 부정선거라는 불의에 항거한 것이 4·19 혁명이었고, 우리 헌법에는 4·19 정신을 계승한다고 돼 있다"고 설명하며 "헌법재판소의 결정이 불의하면 항거하는 것이 헌법정신에 맞다"고 강조했다.
또 그는 '국민들은 불의한 재판관들의 심판에 승복하지 않을 것이다. 헌재를 휩쓸 것'이라고 말했다가 시민단체에 고발당한 것을 두고 "저는 평화를 원하고 폭력에는 반대한다"는 입장을 유지했다.
![]() |
문형배 헌법재판소장 권한대행을 비롯한 헌법재판관들이 지난달 18일 서울 종로구 헌법재판소에서 열린 '윤석열 대통령 탄핵심판 9차 변론'에 입장하고 있다. 이날 윤석열 대통령은 법정에 출석하지 않고 돌아갔다. [사진=사진공동취재단]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한편, 헌법재판소는 지난달 25일 윤석열 대통령 탄핵심판 변론을 종결했으나 3주가 지난 현재까지 평의를 이어가는 한편 선고일을 통지하지 않고 있다.
/김동현 기자(rlaehd3657@inews24.com)
[ⓒ 아이뉴스24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