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령화 현상은 우크라이나 군도 마찬가지다. 25~60세 남성만 징집을 하다 보니 평균 연령이 43세다. 보통 20세 안팎에 군대를 가는 우리나라 사람들의 눈에는 이상하게 보일 수밖에 없다.
우크라이나가 25세 미만을 징집하지 않는 이유는 미래 세대의 보존을 위해서라고 한다. 러시아 지원병의 고령화는 주로 경제적 이유에서다. FT에 따르면 지원병은 계약금을 포함해 첫 1년간 최대 700만 루블(약 1억2000만원)의 보상을 받는다. 노인들은 그 돈을 자식들의 대학 등록금으로 혹은 결혼 자금으로 넘겨 그들의 인생을 바꿔주고는 전쟁터에 나간다.
물론 러시아의 전쟁은 도덕적으로 옳지 않다. 은퇴할 나이의 노인들이 전쟁터에서 죽는다는 건 더더욱 안타깝다. 하지만 그 노인들의 선택에는 고귀한 측면도 있다. 늙은 세대가 살고 젊은 세대가 죽는 것보다는 그나마 낫다. 생물학적으로 봐도 그렇다.
국민연금 제도도 마찬가지다. 최근 여야 합의로 ‘더 많이 걷고, 더 많이 주는’ 방식으로 바뀌었는데 이는 본질적으로 ‘젊은 시절의 나’에게서 돈을 빼앗아갔다가 ‘늙고 난 다음의 나’에게 돌려주는 제도다. 누군가 나중이 아니라 지금 당장 애 낳고 키우는 데 그 돈이 더 간절히 필요하다고 항변해도 소용이 없다. 우리나라의 저출산 현상이 나는 놀랍지 않다.
매일 조선일보에 실린 칼럼 5개가 담긴 뉴스레터를 받아보세요. 세상에 대한 통찰을 얻을 수 있습니다.
'5분 칼럼' 구독하기
[조진서 외신 뉴스레터 '오호츠크 리포트' 에디터]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