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그린란드 美 편입” 주장 속
우샤 밴스 등 美 대표단 27일 방문
안보보좌관 동행… “미군기지 갈 것”
트럼프 아들 이어 고위급 잇단 발길
그린란드 총리 “힘 과시용” 강력 반발
EU “덴마크 전적 지지” 연대 강조
J D 밴스 부통령의 부인 우샤 밴스. AP연합뉴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백악관은 부통령 부인(세컨드 레이디)인 우샤 밴스가 27∼29일 일정으로 그린란드를 방문한다고 23일(현지시간) 밝혔다. 밴스 여사는 아들 및 미국 대표단과 함께 그린란드의 역사 유적지를 방문하고 그린란드의 문화유산을 체험, 그린란드 개 썰매 경주 대회 참관 등의 일정을 갖는다.
백악관은 “문화체험”을 언급했지만 대표단에 마이클 왈츠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이 포함돼 강한 반발을 샀다. 왈츠 보좌관은 크리스 라이트 에너지부 장관과 그린란드 내 미군 기지를 방문할 계획이라고 소식통은 전했다. 미국 지도자 가족의 방문도 외교적 마찰을 빚긴 했으나 형식적으로는 사적 방문으로 간주될 수도 있고 친교 목적을 앞세울 수도 있다. 그러나 미국 정부 최고위 안보 책임자인 그린란드 방문은 단순 방문이나 외교적 방문을 넘어서 정부 차원의 국방·안보 문제임을 분명하게 드러낸다.
이에 무테 에게데 그린란드 총리는 미 대표단의 그린란드 방문에 “매우 공격적”이라고 반발했다. 에게데 총리는 그린란드 매체에 “정치인(밴스 부통령) 부인 방문이 악의가 없다고 말할 순 없다”며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이 무슨 이유로 그린란드를 방문할까? 유일한 이유는 우리에게 힘을 과시하려는 것”이라고 말했다.
메테 프레데릭센 덴마크 총리도 성명을 내고 “이번 미 대표단의 방문은 (트럼프의) 공식적인 발언과 분리할 수 없다”며 “우리는 이를 심각하게 받아들이고 있다”고 했다. 프레데릭센 총리는 그린란드 현안에 미국 측과 협력할 의향이 있음을 재확인하면서도 “협력은 주권의 기본적 가치와 국가와 국민 간 존중에 바탕을 둬야 한다”고 강조했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해 11월 대선 승리 직후 국가안보 등을 이유로 미국이 그린란드를 소유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후 발언이나 행보 수위는 더 높아지고 있다. 덴마크령인 그린란드는 풍부한 광물 자원을 보유하고 있다. 유럽에서 북미로 가는 최단 경로를 따라 위치한 데다, 북극항로의 핵심 통로 역할을 하는 등 미국의 탄도미사일 경보 시스템에 필수적이라고 가디언은 설명했다.
김범수 기자 sway@segye.com
ⓒ 세상을 보는 눈, 세계일보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