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5년 가해자 검거율 40%…최고 징역 12년 선고도
쓰레기 소각 53㏊ 태운 60대 징역 10개월·8000만원 배상금
23일 오후 어둠이 짙게 깔린 경북 의성군 의성읍 업리 동사곡지(저수지) 뒤편 야산에 거대한 산불이 확산하고 있다. (의성=뉴스1) 공정식 기자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대전ㆍ충남=뉴스1) 박찬수 기자 = 힘겨운 진화작업을 벌이고 있는 산청, 의성, 울주 등 대형 산불뿐 아니라 올들어 전국에서 발생한 산불 원인 대부분이 실화인 것으로 나타나 경각심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축구장 1만7600개 면적이라는 '역대 3번째' 피해를 입히고 있는 경북 의성군 산불은 성묘객의 실화가 원인이다.
경북 의성군 특별사법경찰은 25일 의성 산불을 낸 혐의(실화)로 성묘객 50대를 특정해 입건한 상태다. 이 성묘객은 지난 22일 오전 11시 25분께 안평면 괴산리 야산 정상에서 묘지를 정리하던 중 산불을 낸 혐의를 받는다.
경남 산청군 시천면에서 난 대형산불은 풀베기 작업 중 예초기에서 튄 불꽃이 원인인 것으로 추정된다.
이같이 올들어 발생한 산불 234건 중 대부분이 실화가 원인이다.
산불실화는 과실이라 하더라도 산림보호법에 따라 3년 이하의 징역 또는 3000만 원 이하의 벌금에 처해지며 민법 제750조에 따라 민사상 손해배상 책임을 져야 한다.
고의로 산불을 낸 방화 가해자는 최대 7년 이상, 15년 이하의 징역의 훨씬 더 무거운 처벌을 받는다.
최근 5년간 산불 가해자 평균 검거율은 39.5%로, 최고징역은 12년까지 선고된 사례가 있다.
2022년 3월 5일에 발생한 강릉산불의 방화 가해자가 검거돼 2심에서 12년형을 구형받았다.
산불은 과실로 인해 발생하더라도 가해자에게 형사처벌은 물론 별개로 민사상 배상책임까지 물을 정도의 엄중한 범죄다.
산림청은 산 주변에서 불을 피우는 행위를 신고하면 포상금을 지급하는 ‘산불가해자 신고포상금제’를 시행하고 있다. 신고자에게는 최고 300만 원까지 포상금을 지급한다.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