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25일 김숙 컬쳐미디어랩 대표는 '차세대 유니콘, K-플랫폼의 가치를 조망한다' 전문가 토론회에서 이와 같이 말했다. 토론회에서 김 대표는 'K-플랫폼을 통한 한국 웹툰산업의 성장'이라는 주제로 발제를 맡았다.
김 대표는 ▲웹툰 산업 현황 ▲플랫폼의 가치 ▲플랫폼의 글로벌 성장 지원 등 세 가지 관점에 대해 이야기했다.
국내 웹툰 산업 규모는 매년 큰 폭으로 성장하고 있다. 한국콘텐츠진흥원이 집계한 '웹툰산업 실태조사(지난해 기준)'에 따르면 2017년 3799억원이었던 웹툰 산업 규모는 2020년 1조538억원을 넘어섰다. 이듬해인 2021년 1조5660억원으로 성장한 국내 웹툰 산업은 2023년 2조1890억원까지 성장했다.
예를 들어 네이버웹툰은 초기부터 '도전만화'를 통해 창작자를 발굴하는데 기여했고, 글로벌로 진출한 후 '캔버스' 코너를 통해 현지 창작자를 발굴하는 등 북미 웹툰 산업 성장을 주도하는 기폭제로 자리매김했다.
관련 산업의 성장은 종이 만화 중심의 세계 시장을 디지털 플랫폼 중심의 생태계로 재편하는데 영향을 끼쳤다.
김 대표는 "한국 콘텐츠 산업이 전반적으로 전체 시장 규모는 항상 7~8위를 왔다 갔다 하는데 개별적인 산업으로 보면 만화가 5위를 차지를 하고 있다"며 "디지털 경쟁력 순위는 3위로 굉장히 높은 편인데 디지털로 유통되는 시대로 전환이 되면서 웹툰 같은 경우 플랫폼 중심으로 성장을 하고 있기 때문에 제가 생각하기에는 긍정적인 징후라고 볼 수 있다"고 설명했다.
웹툰 불법 유통에 대해서는 지속적인 지원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김 대표는 "불법 유통 방식도 굉장히 발달하며 네이버웹툰, 카카오웹툰, 레진 같은 큰 플랫폼 기업들이 자체 대응하고 있긴 하지만 한계가 있다"며 "비용도 많이 들고 중소 플랫폼들은 딱히 대응하지 못하는 부분도 있어 정부에서도 지원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 Copyright ⓒ 디지털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