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날 국가유산청에 따르면 대형 산불로 8건의 피해가 발생했으며 세부적으로는 보물 2건, 명승 1건, 천연기념물 1건, 시도지정 4건이다.
[서울=뉴스핌] 이지은 기자 = 산불로 전소된 경북 대표 1000년고찰 고운사의 모습. [사진=국가유산청] 2025.03.26 alice09@newspim.com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지난 22일 국가지정 명승 '백운산 칠족령'이 일부 소실된 것으로 시작해 같은 날 경남 하동의 '하동 두양리 은행나무'도 일부 소실됐다. 또한 '하동 두방재'는 부속건물 2채가 전소된 상태이다.
천연기념물인 '울주 목도 상록수림' 역시 초본류와 관목류 등 일부가 소실됐고 울산광역시 문화유산자료인 '운화리 성지'는 피해 사항을 파악 중에 있다.
[서울=뉴스핌] 이지은 기자 = 유형문화유산에 등재된 청송 만세루 전소 모습. [사진=국가유산청] 2025.03.26 alice09@newspim.com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안동 봉정사 외에 영주 부석사 등의 주요 유물 15건(보물 10건, 시도유산 5건)이 국립경주문화유산연구소와 영주 소수박물관, 예천박물관 등으로 옮겨진 상태다.
이어 "사찰 등 소장 유물은 긴급 이송을 조치했으며, 국가유산청 및 소속기관 등 가용 인력을 동원해 대응할 것"이라고 밝혔다.
국가유산청은 산불로 국가유산 피해가 잇따르자 25일 오후 5시 30분을 기준으로 국가유산 재난 위기 경보 '심각' 단계를 발령했다. 국가유산 재난 위기 경보 '심각' 단계 발령은 이번이 처음이다.
alice09@newspim.com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