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기중앙회, 외국인 유학생 졸업 후 진로 의견조사
취업 시 E-7 비자 필요…67% “취득 어려워”
“외국인 취업 기회 제한…중기 인력난에 악영향”
59%, E-9 비자로 전환 희망…“면밀 검토 필요”
지난해 8월 27일 서울 강남구 코엑스에서 열린 ‘글로벌 탤런트 페어’에서 외국인 유학생들이 채용관을 살펴보고 있다. (사진=뉴시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26일 중소기업중앙회가 국내 외국인 유학생 805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외국인 유학생 졸업 후 진로 의견조사’ 결과에 따르면, 전체 외국인 유학생의 86.5%가 졸업 후 한국에서 취업을 희망하고 있으며 특히 전문학사 과정 유학생의 90.8%가 높은 취업 의지를 보였다. 권역별로는 비수도권(87.2%)이 수도권(85.3%)보다 소폭 높았다.
한국에서 취업하고 싶은 이유로는 △한국에 계속 살기 위해서(35.2%) △본국 대비 높은 연봉 수준(27.7%) △관심 있는 분야에서 일하고 싶어서(25.6%) 등을 꼽았다. 취업 희망자 중 63.6%는 3년 이상 근무를 희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내 외국인 유학생은 졸업 후 고용계약에 따라 취업 활동을 하려면 특정활동(E-7) 비자를 부여받아야 한다. 하지만 E-7 비자 취득이 어렵다고 응답한 비율은 전체의 66.7%(매우 어려움 22.2%, 어려움 44.5%)에 달했다. 이중 전문학사 유학생은 73.3%로 가장 높은 비율을 보였다.
E-7 비자 취득에 어려움이 있음에도 전체 응답자의 64.3%는 취업을 못해도 한국에 체류하겠다고 답변했다. 채용 시까지 한국에서 취업을 준비하겠다는 응답이 31.2%, 한국 대학원에 진학하겠다는 응답은 22.5%로 나타났으며 한국에서 창업하겠다는 응답도 10.6%였다. 한국 체류 응답은 전문학사(78.6%), 비수도권(68.7%), 학사 이상(61.5%), 수도권(57.5%) 순으로 높았다.
E-7 비자 취득이 어려운 이유에 대한 조사 결과. (자료=중소기업중앙회)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현 제도상 비전문 취업(E-9) 비자는 유학(D-2), 구직(D-10) 비자에서 전환 허용이 불가하다. 전환이 허용될 경우 전체 유학생의 58.8%가 E-9 비자를 취득해 중소기업 생산직 등 현장에서 일하고 싶다고 응답했다. 특히 전문학사 유학생은 67.2%가 E-9 비자 취득을 희망해 가장 높은 비율을 보였다.
이명로 중소기업중앙회 인력정책본부장은 “많은 외국인 유학생들이 한국 취업에 강한 의지를 보이고 있지만 E-7 비자 취득의 어려움으로 인해 실질적인 취업 기회는 제한적”이라면서 “구인난을 겪는 중소기업의 인력난 해소에도 걸림돌이 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한국어 능력을 갖춘 유학생을 중소기업 현장에서 적극 활용할 경우 의사소통 개선을 통한 생산성 향상과 산업재해 예방에도 긍정적인 효과가 기대되는 만큼 E-9 비자 전환 허용에 대한 면밀한 검토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