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S AI 투어 인 서울 행사 전시 통해 공개
GPT-4o에 한국 데이터 학습…오케스트레이터도 제공
MS 애저에 국내 데이터 컴플라이언스 적용
KT는 26일 서울 양재도 aT센터에서 열린 ‘AI 투어 인 서울’에 전시관을 꾸리고 우리나라 산업 환경에 최적화된 AI 모델, 클라우드 서비스 등 MS와 협업을 통해 개발한 다양한 AI 전환(AX) 솔루션을 선보였다.
T 직원이 AI 투어에서 한국적 AI의 개념을 담은 GPT4o기반 커스텀 모델을 소개하고 있다.(사진=KT)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KT 전시관은 △한국적 시의 개념을 담은 GPT4o기반 커스텀 모델 △보안을 강화한 퍼블릭 클라우드 KT 시큐어 퍼빌륵 클라우드(SPC) △탄소 배출량 산출 자동화를 위한 ‘탄소 배출량 관리 어시스턴트’스 △클라우드 자원을 필요에 따라 유연하게 할당하는 GPUaas‘ △마이크로소프트 코파일럿 기반 업무 혁신 사례 △업무에 필요한 정보와 지식을 제공하는 대화 기반 Al 에이전트 워크 Al’ 등 총 6종의 AX 솔루션으로 구성됐다.
한국적 AI‘ 개념을 담은 ’GPT-4o 기반 커스텀 모델‘
예컨대 ‘입이 무겁다’ 같은 관용구를 더 정확하게 번역하고, 한국 사회의 시대별 ’부의 상징‘을 묻는 질문에는 1960년대인 한국 경제는 번듯한 회사에서 직장을 구한 것 만으로도 부의 상징이라는 구체적인 답변을 내놨다.
KT는 멀티 AI 모델 중 이용자 업무 환경에 가장 적합한 것을 제공하는 ‘오케스트레이터’도 출시한다. 고성능 모델인 한국적 GPT-4o뿐 아니라 오픈소스 라마와 자체 개발 모델 믿음 등을 활용해 금융, 법률, 교육, 의료 등 산업 특화 AI를 제공해 다양한 요구사항에 대응한다는 계획이다.
KT의 한국적 AI 접근법(사진=임유경 기자)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보안성을 강화한 퍼블릭 클라우드
데이터의 전 생애주기 동안 강력한 보안성을 갖춘 것이 가장 큰 특징이다. 기존 퍼블릭 클라우드 환경에서는 보호하지 못했던 ‘사용 중(in Use)인 데이터’ 영역까지 암호화하며, 하드웨어 보안 모델인 ‘매니지드 HSM’ 서비스와 고객 관리키 등을 사용한다. 고객이 제어권을 갖기 때문에 데이터 유출 시에도 암호 해제가 불가능하다.
KT 사내 ‘M365 코파일럿’ 도입 통한 업무 혁신
KT는 1만 명 넘는 전체 구성원을 대상으로 M365 코파일럿을 도입하는 등 구성원들이 업무 환경에서 일상적으로 AI를 활용할 수 있게 했다. 이번 행사에서는 AI로 일하는 방식을 바꾸면 발생한 시행착오와 극복 방법도 공개했다.
GPU도 구독하는 ‘GPUaaS’
KT는 ‘탄소 배출량 관리 어시스턴트’도 공개했다. 탄소 배출량 변화 원인을 분석하고 감축 가이드를 제공하며 신제품 출시에 따른 탄소 배출량을 손쉽게 산출하는 등 해당 분야 전문가들의 작업을 자동화하는 에이전트다. MSM(Microsoft Sustainability Manager)를 기반으로 기업들의 기존 탄소 배출량 계산 뿐만 아니라 공급망의 탄소 배출량까지 관리할 수 있다.
이번 행사에서는 계열사들도 AI 기술력을 뽐냈다. KT클라우드는 학습과 추론을 위한 인프라 서비스 GPUaaS(GPU as a Service)를 소개했다. 올해 3분기 내에는 엔비디아 H200을 적용해 한층 강화된 성능을 구현할 계획이다.
KT 관계자는 “이번 전시를 통해 MS와의 긴밀한 협력으로 달성한 기술적 성과를 공유하고, KT 그룹의 AX 혁신 사례를 선보일 것”이라며 “국내 산업계 AX가속화를 위한 고민을 해결하는 데 유용한 인사이트를 제공하겠다”고 강조했다.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