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대통령이 지난해 2월 26일 충남 서산비행장에서 '미래산업으로 민생활력 넘치는 충남'을 주제로 열린 민생토론회에서 군사시설 보호구역 해제를 발표하고 있다. 연합뉴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26일 국방부에 따르면 세종특별자치시·경남 거제 등 비수도권 지역의 2곳 땅 316만㎡이 보호구역에서 해제된다. 지역발전과 주민 불편의 해소가 필요한 지역 중 보호구역을 해제하더라도 작전적으로 문제없는 곳을 선정했다고 국방부는 설명했다.
세종특별자치시에선 부대 이전이 10년 전에 이미 이뤄졌으나 보호구역으로 일부 남아있던 43만㎡가 해제됐다. 거제의 경우 기업혁신파크, 거제 관광단지 등 해양관광 활성화 사업을 추진 중인 점을 고려해 지역투자 촉진을 목적으로 군 작전에 미치는 영향이 적은 지역 273만㎡를 해제했다.
이밖에 강원 양양의 7만㎡는 지자체, 지역 주민과의 사전협의 및 동의를 완료한 후 통제보호구역으로 신규 지정하기로 했다. 국방부 관계자는 “지난해 6월부터 시행된 ‘강원특별자치도 설치 및 미래산업글로벌도시 조성을 위한 특별법’에 따라 보호구역이 필요 최소한으로 지정될 수 있도록 해당 지자체와 소통했다”고 말했다. 특별법은 강원도지사 또는 관할 시장·군수가 관할 부대장에게 민간인통제선 또는 보호구역의 지정ㆍ변경 또는 해제를 건의할 수 있도록 규정하고 있다.
반면 올해는 해제와 완화가 이뤄지는 땅을 다 합쳐도 약 1600만㎡로 여의도 면적의 5.5배에 불과하다. 문재인·윤석열 정부로 범위를 좁혀보면 이번을 제외하고 2022년이 최소 규모였다. 같은 해 1월 국방부는 당·정 협의를 열고 905만㎡가 해제된다고 발표한 적이 있다.
26일 국방부가 발표한 군사시설 보호구역 해제 및 완화 지역. 국방부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일각에선 정치적 상황이 영향을 미쳤다고 보는 시각도 있다. ‘12·3 비상계엄’ 사태와 대통령 대행 체제 하에서 보호구역 해제를 정치적 이벤트로 만들기 어려운 환경이 영향을 미친 것 아니냐는 의미다.
실제 대규모 보호구역 해제 조치가 이뤄질 때마다 선거용 선심 정책이라는 지적이 끊이지 않았다. 지난해 서울 강남·서초·송파구 등 수도권 지역을 포함한 땅이 전격 해제된 데 “‘4·13 총선’을 50일도 채 남겨놓지 않은 가운데 ‘선거 민심’을 고려한 조치”라는 얘기가 나왔다. 2020년 1월 7709만6121㎡ 부지를 해제한다는 발표가 나왔을 때도 3개월 앞둔 총선을 겨냥한 것 아니냐는 비판이 있었다.
이근평·이유정 기자 lee.keunpyung@joongang.co.kr
▶ 중앙일보 / '페이스북' 친구추가
▶ 넌 뉴스를 찾아봐? 난 뉴스가 찾아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