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증권과 키움증권은 나스닥 타워를 통해 동학개미와 서학개미를 응원했다. (사진제공=각 사) *재판매 및 DB 금지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서울=뉴시스]남주현 기자 = 국내 해외주식투자자가 매그니피센트7(M7) 등 인지도가 높은 종목과 레버리지 상장지수펀드(ETF) 등 리스크가 큰 상품 등 변동성이 높은 주식에 투자하고 있다는 지적이 나왔다. 미국 일부 종목에 대한 편중을 줄이고 국내외 다른 종목에 대한 투자를 늘려 위험을 분산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는 조언이다.
한국은행은 26일 자체 블로그에 '서학개미, 이제는 분산투자가 필요할 때'를 게재했다. 작성자는 이재민 한은 국제국 해외투자분석팀장과 장예진 해외투자분석팀 조사역이다. 해당 글은 팬데믹 이후 크게 늘어난 개인투자자의 해외주식투자 특징을 살펴보고 투자할 때 주의해야할 점을 다뤘다.
블로그에 따르면 2020년 코로나 팬데믹 이후 개인투자자는 해외주식투자를 급격히 확대했다. 국제투자대조표(IIP)에 따르면, 2019년말 개인투자자의 주식투자 잔액은 152억 달러로 거주자의 해외주식투자 전체 잔액 중 4.4%를 차지하는 데 그쳤다.
해외투자는 미국 주식에 쏠렸다. 거주자 전체의 미국주식 투자잔액 비중은 2019년말 47.0%에서 2023년말 63.1%까지 늘었지만, 개인투자자 포트폴리오에서의 비중은 같은 기간 58.2%에서 88.5%까지 확대되어 전체 평균을 크게 앞질렀다. 이달 18일 기준으로는 90.4%까지 늘었다.
투자 상위 10위 종목을 살펴보면 M7 종목 대다수와 나스닥100 및 S&P500 지수 등을 추종하는 일반·레버리지 ETF 등으로 구성돼 있다. 지난 18일 현재 이들에 대한 개인투자자의 투자잔액은 454억 달러로 전체 투자액의 43.2%를 차지하고 있다.
M7 종목은 코로나 팬데믹 이후 주가가 상승하면서 개인투자자들의 주목을 꾸준히 받았다. 2019년말 19억 달러 수준이던 투자잔액은 3.18일 현재 371억 달러까지 확대되었으며, 전체 투자잔액 중 비중은 2022년 이후 40% 내외에서 유지되고 있다.
이들 종목에 대한 개인투자자의 지분율이 일부에서는 40%를 넘기도 했고, 지수가 아닌 테슬라 및 엔비디아 등 개별 종목의 수익률을 추종하는 종목에도 투자하는 등 우리나라 투자자가 다른 나라에 비해 과도한 리스크 추구 성향을 보이는 것으로 확인됐다.
저자들은 2021~2022년 사례를 제시했다. 2021년 당시 미국 주식시장은 제로금리와 기업실적 개선으로 개인투자자의 수익률은 24.1%로, S&P500 지수 연간 수익률에는 다소 미치지 못했지만 전체 거주자 평균의 두 배 가까운 성적을 올린 바 있다.
하지만 2022년에는 미 연준이 정책금리를 급격히 인상해 S&P500 지수는 19.4% 하락했다. 이때 개인투자자들은 M7 종목 보유 비중을 정점까지 늘렸는데, 종목별 연중 수익률은 -65~-17%로 대부분 하락 폭이 지수보다 더 컸다.
문제는 최근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정책과 이로 인한 기업들의 실적 악화에 대한 우려 등으로 하락에 주가가 하락하고 있지만, 개인투자자는 미국주식 등을 중심으로 해외주식 저가매수를 이어가고 있다는 점이다.
이에 따라 손실을 입을 경우, 이를 만회하기 위해서는 일정 수준 이상의 수익을 오랫동안 쌓아야 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2022년과 비슷하게 연간 마이너스(-) 40% 평가 손실을 입은 뒤 개별 종목 대신 S&P500 추종 ETF에 투자하기로 하면 최소 8.6년을 보유해야지만 원금이 회복된다.
이에 저자들은 "손실을 최소화하고 안정적인 투자이익을 쌓아가기 위해서는 M7, 레버리지 ETF 등 일부 종목에 대한 과도한 편중을 줄이고 국내외 다른 종목에 대한 분산투자를 통해 위험을 분산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njh32@newsis.com
▶ K-Artprice, 유명 미술작품 가격 공개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