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이슈 IT기업 이모저모

나델라 MS CEO "AI 통해 한국 경제 번창할 것…교육 사업 확대"(종합)

0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AI 마이크로 학위’ 프로그램 도입 발표

AI비서 리서처·애널리스트 최초 공개

韓 스타트업과 애저 플랫폼 활용 협력 논의

사티아 나델라 마이크로소프트(MS) 최고경영자(CEO)는 26일 서울 서초구 aT타워에서 열린 'MS 인공지능(AI) 투어 인 서울'에 기조연설자로 참석해 국내 기업과의 협력 사례를 소개했다. 사진=박유진 기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사티아 나델라 마이크로소프트(MS) 최고경영자(CEO)는 26일 서울 서초구 aT타워에서 열린 'MS 인공지능(AI) 투어 인 서울'에 참석해 "한국의 인적 자본과 AI 능력이 합해져 미래 경제가 번창할 것"이라며 국내에서 AI 교육 프로그램을 도입하겠다고 밝혔다.

이날 오후 기조연설을 한 나델라 CEO는 KT와 함께 전국적인 'AI 스킬링 이니셔티브'를 추진하며, "‘AI 마이크로 학위’(AI Micro-degree) 프로그램을 도입하겠다"고 강조했다. AI에 관심을 가진 모든 국민을 대상으로 교육 범위를 확대해 한국의 'AI 리터러시' 수준을 향상시키기 위한 계획이다.

나델라 CEO는 이날 추론 모델을 적용한 최신 AI 모델 에이전트(비서)도 전세계 최초로 공개했다. 나델라 CEO는 "오늘 새로운 에이전트 출시를 발표해 정말 흥분되고 기쁘다"며 새로운 AI비서 '리서처(Researcher)'와 '애널리스트(Analyst)'를 소개했다. 리서처는 오픈AI의 o3 추론 연구 모델과 코파일럿의 조합·심층 검색 기능을 통합해 새로운 시장 전략, 분기 미팅을 위한 고객 조사 등 복잡한 분석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애널리스트는 최신 추론 모델의 연쇄 추론 능력을 기반으로 분산된 다양한 데이터를 분석해 새로운 제품의 수요 예측, 소비자 구매 패턴 분석, 매출 데이터 트렌드 파악 등 비즈니스 핵심 인사이트를 도출한다.

마이크로소프트가 지난 2018년 인수한 AI 기반 개발자 플랫폼 '깃허브'가 한국에서 약 20% 성장해 현재 225만명의 한국 개발자가 사용하고 있다는 점도 언급했다. 그는 "한국에서의 깃허브 성장 모멘텀을 보는 것은 놀랍다"며 "매년 엄청난 속도로 증가하고 있어 기대된다"고 말했다.

나델라 CEO는 국내 기업들과의 협력도 적극 확대하고 있다고 밝혔다. GS 리테일, 아모레퍼시픽 등 국내 기업들이 마이크로소프트의 AI 솔루션을 적극 활용하고 있는 사례를 소개하며 "기업들이 코파일럿을 사용해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고객 경험을 혁신하는 것이 인상적"이라고 평가했다. 특히 KT와는 올해 2분기 중 상용화를 목표로 '한국적 AI'를 공동 개발 중이다. 한국적 AI는 한국인의 사고방식과 정서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한국의 역사, 철학, 사회를 학습한 AI를 의미한다.

전날 KT는 마이크로소프트와 함께 각 산업군에서 AX(AI 전환) 흐름을 선도하는 주요 대기업 경영 리더들과 만나 ‘AX 리더 써밋’도 열었다. 장인화 포스코그룹 회장, 강석훈 한국산업은행 회장, 진옥동 신한금융지주 회장, 정기선 HD현대 수석부회장, 김유열 EBS 사장, 송창현 현대자동차그룹 사장 등이 참석해 다른 업종과의 협업을 통해 AI·클라우드 분야에서 시너지를 낼 수 있는 방법에 관해 논의했다.

이날 오전 이뤄진 국내 스타트업 비공개 간담회에서는 갤럭시코퍼레이션, 뤼튼테크놀로지스, 업스테이지, 라이너, 콴다 등 국내 유망 AI 스타트업들과 협력 방안에 관해 이야기를 나눴다. 이들 스타트업은 공통적으로 마이크로소프트의 애저(Azure) 플랫폼을 활용한 협력을 논의한 것으로 알려졌다.

박유진 기자 genie@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아시아경제 주요 뉴스

해당 언론사로 연결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