뇌졸중·심장질환 유발도
서울에 초미세먼지 주의보가 발령된 25일 서울 종로구 북악산에서 바라본 도심이 뿌옇다. 뉴시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황사로 전국 대부분 지역의 미세먼지 농도가 ‘나쁨’ 수준에 머물면서 건강에도 빨간불이 켜졌다. 미세먼지 속에 있던 철·카드뮴 등 중금속이 폐로 침투해 심혈관 질환을 유발할 수 있는 만큼 주의가 필요하다.
미세먼지는 세계보건기구(WHO)가 지정한 1군 발암물질로 여러 질환의 원인이 된다. 체내에 축적될 경우 비염과 기관지염, 천식 등 호흡기 질환뿐만 아니라 고혈압과 부정맥, 동맥경화, 안구건조증 등 다양한 질환을 유발할 수 있다. 부정맥은 심장이 정상적으로 뛰지 않는 병을 말한다. 미세먼지 농도가 ㎥당 10㎍(마이크로그램·1㎍은 100만 분의 1g)씩 늘어날 때마다 급성 기관지염은 23.1%, 천식 10.2%, 만성 기관지염 환자는 6.9% 증가한다.
미세먼지는 뇌졸중을 유발하기도 한다. 혈류에 유입된 미세먼지와 초미세먼지가 염증을 유발하고 혈전 생성을 촉진할 수 있어서다. 뇌로 가는 혈류 공급이 차단되면 갑작스러운 팔다리 마비, 언어장애 등이 나타날 수 있다. WHO에 따르면 미세먼지로 인한 사망자 중 40%가 뇌졸중과 심장질환이었다.
미세먼지(PM10)는 입자 크기가 10㎛(마이크로미터·1㎛는 100만 분의 1m)인 것으로, 이보다 더 작은 초미세먼지(PM2.5)는 코와 기관지를 거치지 않고 바로 체내로 흡수돼 염증 반응을 일으킨다. 미세먼지처럼 심혈관과 뇌 건강에도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
변태섭 기자 libertas@hankookilbo.com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