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년간 210억불 투자 결정…HMGMA 생산 30만→50만대
"美 생산 20만대 늘면 한국 생산·수출 20만대 줄어들 것"
국내 생산 감소는 협력 부품사 생태계에도 연쇄 영향
"선진시장 현지화 및 AAM 등 신사업 파생효과도 봐야"
지난 24일(현지시간) 현대차그룹은 오는 2028년까지 미국 자동차·부품 ·철강 등에 210억달러(약 30조8217억원)를 투자하기로 결정했다. 이에 트럼프 대통령은 “현대차는 관세를 내지 않아도 된다”고 화답했다.
[이데일리 김일환 기자]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현대차그룹은 자동차에만 총 86억달러를 투자해 현재 연 100만대 수준인 미국 현지 생산량을 연 120만대까지 늘린다. 현재 연 30만대 생산이 가능한 조지아주 ‘현대차그룹 메타플랜트 아메리카(HMGMA)’에 20만대 라인을 증설해 총 연 120만대로 확대한다는 계획이다.
120만대 체제가 구축되면 현대차·기아가 지난해 미국에서 판매한 약 170만대 규모의 차량 수요 중 상당 부분을 현지 생산으로 충당하는 셈이다. 현지 생산 비중이 53%에서 70%로 늘어난다.
이항구 한국자동차연구원 연구위원은 “관세 위협이라는 급한 불을 껐지만 이제부터가 문제”라며 “미국서 장차 20만대 생산을 늘린다는 것은 단순히 말해 국내 생산, 수출 물량 20만대가 줄어든다는 이야기”라고 진단했다. 이 연구위원은 “현대차그룹이 미국 정부에 약속한 바가 있기 때문에 우선 현지 공장을 최대한 가동하게 될 것”이라며 “대미 수출량 감소는 현대차뿐만 아니라 이와 연관된 국내 1차, 2차 협력사의 생존과도 직결된 문제”라고 지적했다.
그러나 이번 투자에 따른 우려를 단순히 차량 대수로만 판단할 필요는 없다는 분석도 있다. 관세 리스크라는 큰 산을 넘은 만큼 이번 투자로 파생되는 다양한 비즈니스 기회가 장기적으로 긍정적인 결과를 가져올 수 있다는 것이다.
송선재 하나증권 연구위원은 “이번 투자로 전기차 부품과 철강 등 주요 부품의 현지화율도 높여 조달 리스크를 낮추면서 핵심 시장인 미국에서 안정적인 성장 기반을 마련하게 됐다”며 “또한 현지 진출한 부품업체들은 추가 납품을 통한 규모의 경제 효과를 기대할 수 있고, 로보틱스·미래항공모빌리티(AAM)처럼 자동차 공급망을 활용할 수 있는 신사업 참여 기회도 늘릴 수 있다”고 분석했다.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