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평원, 의료기관서 수집한 자료 바탕으로 공개하는 첫 통계
2022년 7만 8000여명 시술…체외수정서 임신율 높아
연도별 난임시술 건수 현황(2019년~2022년) (심평원 제공) 2025.3.26/뉴스1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서울=뉴스1) 조유리 기자 = 난임시술 건수가 3년 동안 36.7%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체외수정시술이 83%로 해당 시술을 받은 이들의 3명 중 1명은 35~39세였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은 이러한 내용이 담긴 '통계로 보는 난임시술'책자를 발간했다고 26일 밝혔다.
심사평가원은 매년 난임시술 정보를 수집해 난임시술 현황 통계를 관리하며 난임 관련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전문가 및 관련 학회와 협력하고 있다.
이번 통계는 기존 급여명세서를 기반으로 산출했던 자료와 달리 전체 난임시술 지정 의료기관으로부터 수집한 난임시술기록지를 바탕으로 산출해 난임원인, 시술 과정별 세부 산출 통계, 임신율 등의 내용을 최초로 담았다.
유형별로는 체외수정시술 16만 6870건(83.4%), 인공수정 시술 3만 3137건(16.6%)으로 인공수정 시술은 감소했지만, 체외수정 시술은 증가했다.
2022년 난임시술을 받은 대상자는 총 7만 8543명이며 평균 연령은 37.9세다. 체외수정 시술 대상자의 평균 연령이 인공수정 시술 대상자의 평균 연령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난임시술 대상자의 연령을 시술별로 비교했을 때, 체외수정 시술은 35~39세 비율이 34.2%로 가장 높았으며 인공수정 시술은 30~34세 비율이 43%로 가장 높았다.
체외수정 시술은 1~2차가 전체 시술의 57.7%를, 인공수정 시술은 1~2차가 전체 시술의 81.4%를 차지했다.
체외수정 시술 임신율은 평균 36.9%로 25세~29세에서 48.4%로 가장 높았으며 이후 연령이 증가할수록 감소하는 추세를 보였다. 인공수정 시술 임신율은 평균 13%이고 25세 미만이 17.3%로 가장 높았으며 연령이 많을수록 임신율이 낮아졌다.
난임 전문가는 임신을 계획하고 있는 부부라면 적어도 35세 이전에는 의료기관을 방문해 가임력 검사를 받고 자연임신 시도를 우선하되 필요하다면 적기에 난임시술을 받을 것을 권유했다.
ur1@news1.kr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