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불 급감 일본·중국·북한, 산림에 예산 안 써"
"대형 헬기, 강풍에 취약하고 출동 오래 걸려"
"불에 강한 활엽수 솎아내는 '숲 가꾸기' 문제"
26일 경북 안동시 임동면 갈전리 야산이 불에 타며 연기가 피어오르고 있다. 안동=연합뉴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한국에서 산불이 빈번하게 발생하는 이유는 산림청의 정책적 실책에서 비롯한다는 비판이 나왔다. 특히 28년째 이어지고 있는 '숲가꾸기' 사업이 대형 산불을 키웠다는 분석도 제기됐다.
홍석환 부산대 조경학과 교수는 지난 11일 계간 창작과비평에 기고한 글 ‘산불 키우는 산림청, 숲에서 답을 보라’에서 “우리를 둘러싼 일본과 중국, 북한은 최근 들어 산불이 급감하고 있다”며 “이들 나라는 우리와 달리 산림에 세금을 쏟아붓지 않는다는 공통점이 있다”고 주장했다.
홍 교수는 잦은 산불의 이유를 이상기후에서 찾은 시각도 경계했다. 그는 “우리나라 산불의 대형화 원인이 기후변화 때문이라는 주장은, 유독 대한민국만 미워해서 기후위기라는 형벌을 주변국을 제외한 우리에게만 내린다는 주장과 같다”며 “왜 예산을 쓰면 쓸수록, 대비를 하면 할수록 화재는 더욱 커지는가에 대한 의문을 살펴봐야 한다”고 썼다.
그는 대형 화재가 발생하면 불과는 아무 관련이 없는 산림청이 소방청을 지휘하고, 화재 이후에도 산림청 중심의 산불 예산 대책이 반복된다며 △대형 헬기 도입 △특수진화차량 도입 △임산 도로(임도·林道) 조성 △숲가꾸기 사업을 “산림청의 대표적인 대책이자 전부”라고 규정하면서 “어느 하나 검증된 것이 없는데도 그들은 이 대책을 고수한다”고 꼬집었다.
방화림 역할을 하는 임도 조성과 특수진화차량 문제도 “실제로 산불이 발생하면 고열에 임도로 차량이 들어가지 못한다”며 “초동 진화와 아무런 관련이 없다”고 지적했다. 그는 “2023년 강릉 산불 지역의 도로 현황을 보면 임도도 아닌, 포장도로가 그물망처럼 놓여 있다”고 덧붙였다.
25일 오후 경남 산청군 시천면 야산에서 소나무 사이로 불씨가 보인다. 산청=연합뉴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홍 교수는 산림청이 1998년부터 진행 중인 ‘숲가꾸기’ 사업이 오히려 대형 산불을 키웠다는 주장도 했다. 숲가꾸기 사업은 정부가 외환위기 사태로 급증한 실업자를 흡수하기 위한 방편으로 시작했는데, 숲의 연령과 상태에 따라 가지치기, 어린나무 가꾸기, 솎아베기, 천연림 가꾸기 등을 시행한다.
그러면서 그는 한국의 모든 대형 산불 발생 지역의 공통점이 “소나무림 우점 지역이면서 활엽수 어린나무들을 베어낸 ‘숲가꾸기’ 사업이 진행된 숲”이라고 짚었다.
이 글은 22일부터 시작된 경상권 초대형 산불이 발생하기 전에 발표됐지만, 이번 산불 역시 소나무림 지역에서 거세게 확산되고 있다는 지적이 나왔다. 26일 산불대응전문가인 서재철 녹색연합 전문위원은 CBS ‘김현정의 뉴스쇼’에서 “영양·청송 지역은 한국에서 가장 소나무 밀도가 높은 곳이라 특히 걱정된다”고 말했다. 국립산림과학원 연구 결과에 따르면 소나무는 활엽수에 비해 1.4배 더 뜨겁게 타고 불이 지속되는 시간도 2.4배 더 긴 것으로 나타났다.
홍 교수는 “대형 산불은 모두 자연의 흐름을 역행하며 세금이 투입된 지역에서 발생했다”며 “대형 산불은 자연재해가 아니라 산림청의 잘못된 정책에 의한 인재에 다름 아니다”고 비판했다. 그는 “과학적 관점에서의 해결방법은 너무나 간단하다”며 “숲가꾸기를 멈추고 숲의 발달을 자연의 흐름에 맡기면 된다”고 덧붙였다.
연관기사
• "역사상 최악의 산불... 비 충분히 오지 않으면 장기화 가능성도"
(www.hankookilbo.com/News/Read/A2025032609220002540)
(www.hankookilbo.com/News/Read/A2025032609220002540)
• 산림청이 산불 키웠다? 환경단체 "숲가꾸기 사업이 불씨 제공"
(www.hankookilbo.com/News/Read/A2022041813370005879)
(www.hankookilbo.com/News/Read/A2022041813370005879)
박소영 기자 sosyoung@hankookilbo.com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