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 입주 공백 본격화..."하반기 서울 집값 가격 상승"
분양가상한제 단지 청약, 경매 등 유망 투자처
지방, 미분양 해소 전까지 매입 신중해야
[사진=연합뉴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부동산 시장에 불확실성이 높아져 내 집 마련에 대한 불안감이 커지는 상황에서 전문가들은 금리 인하에 대한 기대감과 전세가격 상승, 공급 부족 우려가 맞물리면서 하반기 서울 집값이 상승 흐름을 탈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이에 내 집 마련을 꿈꾸는 실수요자들에게 입지가 우수하거나 분양가상한제가 적용된 단지를 중심으로 청약에 나서거나 경매 등을 활용할 것을 추천했다. 반면 지방은 지역 경기 침체로 거래 절벽이 이어지며 미분양 매물이 해소되기 전까지 신중하게 거래할 것을 제언했다.
27일 아주경제신문이 부동산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내 집 마련 전략에 대한 의견을 청취한 결과 대다수 전문가들은 주택 구매 시 상반기에 매수하는 편이 나을 것으로 봤다. 공급 부족 우려와 하반기 금리 인하 등 가격 상승 요인이 나타나기 전에 가능한 한 서둘러 매수하는 게 좋다는 것이다.
김제경 투미부동산컨설팅 소장은 "토허제 이후 강남 중심으로 오른 집값이 서울 전역으로 퍼지고 있다"며 "공급 감소로 인한 입주 공백이 내년에 본격화될 예정이고, 하반기 이후 금리 인하와 전세 수급 불균형 등 가격 상승 요인이 존재하기 때문에 올 상반기가 내 집 마련을 위한 적기"라고 말했다.
다만 금융권의 가계대출 규제 등 변수가 있는 만큼 ‘영끌’은 자제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함영진 랩장은 "오는 7월 스트레스 DSR 3단계 도입이나 금융권 가계대출 규제가 매수세를 떨어뜨리는 변수가 될 수 있다"며 "서울 강남권과 한강변 일대 등 대기 수요가 탄탄한 지역은 연내 가격 강보합이 지속될 것으로 전망되기 때문에 인기 지역에서 무리한 대출을 통한 영끌은 자제할 필요가 있다"고 내다봤다.
송승현 도시와경제 대표는 "청약 시장이 침체된 상황이지만 분양가상한제 적용 단지나 입지가 우수한 민간 분양은 여전히 메리트가 존재한다"며 "경쟁률이 낮아진 지금은 가점이 낮은 무주택자에게 좋은 기회"라고 설명했다.
이어 "일반 분양 외에도 신축 입주권, 급매물, 준신축 경매 등 시세보다 저렴한 실거래가 형성된 시장을 노리는 실물 중심의 선택지 확대 전략도 병행이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지방은 미분양 매물이 해소되기 전까지는 투자에 신중해야 하고 실수요자는 신도시를 중심으로 한 선호 지역을 관심 지역으로 둘 것을 추천했다. 지방을 중심으로 거래절벽이 심화되는 상황에 지역별 양극화 현상이 두드러진다는 관측이다.
아주경제=한승구 기자 win9@ajunews.com
- Copyright ⓒ [아주경제 ajunews.com] 무단전재 배포금지 -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