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인 해외 투자자, 미국 비중 90%
M7 변동성·레버리지 등 위험 추구
“40% 손실 땐 원금 회복 8년 걸려”
한은은 미국 증시에서 40% 손실 이후 원금을 회복하려면 8년이 넘게 걸린다며 분산투자를 조언했다.
한은 국제국 해외투자분석팀이 26일 한은 블로그에 올린 ‘서학개미, 이제는 분산투자가 필요할 때’라는 글을 보면, 지난해 말 해외주식 투자 잔액의 개인투자자 비중은 15.6%로 2019년 말(4.4%)의 3배 이상으로 확대됐다. 투자액도 1161억달러로 2019년(152억달러)의 8배가량으로 급증했다.
특히 서학개미들은 미국 증시 쏠림 현상이 심했다. 개인투자자의 해외주식 투자액 중에서 미국 주식이 차지하는 비중은 2019년 말 47%였으나 지난 18일 기준 90.4%로 높아졌다.
특히 미국 7대 기술주인 매그니피센트7(M7)은 전체 투자잔액 중 35.3%를 차지할 정도다. 테슬라 주가를 두 배로 추종하는 TSLL 등 레버리지 ETF의 경우 국내 투자자 지분율이 40%를 넘기는 등 다른 국가와 비교해 과도한 위험추구 성향도 보였다.
2021년 미국 연방준비제도(연준)의 양적완화 등으로 미국 증시가 호조를 이루자 개인투자자는 24.1%의 수익률을 기록했다. 전체 거주자(금융기관 포함)의 수익률(13%)을 대폭 상회했다.
그러나 연준이 긴축으로 돌아선 2022년 개인투자자들은 35.4%의 손실을 봤다. 전체 거주자의 평균 수익률(-19.2%)은 물론 S&P500 지수(-19.4%)의 두 배 가까운 손실이다.
한은은 한 해 동안 -40% 손실 이후 S&P500 지수를 추종하는 ETF로 만회하려 할 때, 원금을 회복하기 위해선 최소 8.6년(S&P500 연평균 수익률 6.1% 가정) 보유해야 한다고 밝혔다.
김경민 기자 kimkim@kyunghyang.com
▶ 매일 라이브 경향티비, 재밌고 효과빠른 시사 소화제!
▶ 주3일 10분 뉴스 완전 정복! 내 메일함에 점선면 구독
©경향신문(www.khan.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