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덕 8명-영양 6명 등 인명피해 확산
의성 진화 헬기 추락, 조종사 숨져
산불 사망 통계작성 이래 최다 우려
산림당국, 지리산 천왕봉 사수 총력
불타버린 고운사 국가보물 가운루-연수전… 깨진 범종만 덩그러니 26일 경북 의성군 고운사에서 전날 산불에 휩쓸려 무너진 건물 잔해들 사이에 깨진 범종이 덩그러니 남아 있다.이번 화재로 국가유산 보물인 목조건축물 가운루와 연수전을 포함해 고운사 내 건물 30채 가운데 21채가 전소했다. 고운사는 신라 신문왕 원년(681년)에 의상대사가 창건해 천년사찰로 불린다. 의성=전영한 기자 scoopjyh@donga.com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영남 지역에서 동시다발적으로 발생한 산불로 26일까지 26명이 사망했다. 산림청이 산불 통계를 시작한 1987년 이후 1989년 26명과 함께 역대 가장 많은 산불 재해 사망자다. 22일 경북 의성에서 발생한 산불이 강풍과 함께 안동, 청송에 이어 영양 영덕 동해안까지 번지면서 사망자가 더 늘어날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와 소방당국에 따르면 의성 산불이 경북 지역 4개 시군으로 빠르게 번지면서 25일 영덕군에선 80대 요양원 입소자 등 6명이 타고 대피하던 차량이 불길에 폭발해 3명이 숨졌다. 거동이 불편한 80대 노부부가 불길을 피하지 못해 집 앞에서 함께 숨지는 등 안동 4명, 청송 3명, 영양 6명, 영덕 8명 등 21명이 숨졌다. 26일 의성 산불 진압 중 헬기가 추락해 조종사 1명도 사망했다. 22일 경남 산청 산불로 사망한 진화대원 등 4명을 더하면 사망자는 총 26명이다. 부상자까지 합치면 사상자는 50여 명에 달한다.
거듭된 진화 작업에도 불구하고 산불은 강풍과 고온, 건조한 날씨 등으로 인해 무섭게 확산하고 있다. 영덕군 관계자는 “초속 최대 25m의 태풍급 강풍으로 산불이 청송에서 영덕읍 군청까지 4∼5시간, 해안까지 확산하는 데 대략 8시간밖에 걸리지 않았다”고 전했다. 청송 영덕과 인접한 포항시 죽장면에서는 주민들에게 긴급대피 안내 문자가 발송되기도 했다.
산청 산불은 지리산국립공원 경계선 안쪽 200m까지 번졌다. 산림 당국은 방어선을 구축해 천왕봉 사수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산불이 확산한 곳에서 천왕봉까지 거리는 8.5km이다. 22일 의성에서 시작된 산불은 주왕산국립공원으로 번졌다.
의성과 산청 산불로 이날 오후 4시 기준 주택과 공장, 창고, 사찰, 문화재 등 건물 317곳이 불에 탔다. 의성과 안동 2만2026명, 산청과 하동 1797명, 울주 언양 4628명, 온양 383명 등 2만8869명이 대피했다. 이날 산불 진화 헬기 추락 사고로 한동안 항공 진화가 중단되기도 했다. 진화대원들의 피로도 누적되고 있다. 26일 울산 등 일부 지역에서 비가 시작됐고 27일 전국에 비가 예고됐지만 산불 확산세를 가라앉힐 수 있을 정도로 강수량이 많을지는 미지수다. 산림청은 “불길이 좀처럼 잡히지 않으면서 강원지역으로까지 북상할 기세”라고 밝혔다.
영양=전남혁 기자 forward@donga.com
영덕=소설희 기자 facthee@donga.com
ⓒ 동아일보 & donga.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