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는 산불이 난 지역에 재난사태를 선포하고, 소방청은 국가소방동원령을 발령했다. 산림청은 산불재난 국가위기 경보를 ‘심각’ 단계로 높였다. 그러나 체계적인 대응이 이뤄지고 있는지는 의문이다. 대피령에 따라 서둘러 길을 나선 주민들이 동해안 7번 국도로 한꺼번에 몰리자 도로는 아수라장이 됐다. 고령 사망자가 속출하고, 산불 진화대원 등이 목숨을 잃은 것도 안타까운 일이다. 현장에선 ‘전쟁터가 따로 없다’는 말이 나온다.
봄철 산불은 날이 갈수록 기승을 부릴 공산이 크다. 지구 온도는 산업화 이전에 비해 평균 1.5도 높아졌다. 자연 산림은 더 메말라졌다. 불씨가 날릴 ‘최적의 조건’이 갖춰진 셈이다. 연초 미국 캘리포니아주는 한 달 가까이 이어진 대형 산불로 곤욕을 치렀다. 산림청에 따르면 국내 산불은 1980년대 연평균 238건에서 2020년대(2020∼2023년) 580건으로 급증했다. 강원도에서 자주 발생하던 봄철 산불이 이번에 영남권을 휩쓰는 것도 예사로 볼 일이 아니다.
한 대행은 “최근 10년간 발생한 산불의 71%가 입산자 실화, 쓰레기 소각 등 개인의 부주의가 원인”이라고 말했다. 이번 산불도 성묘객 실화가 원인으로 추정된다. 만에 하나 다른 데서 추가로 산불이 나면 낭패다. 내달 5일 한식을 앞두고 성묘 행렬이 줄을 이을 것으로 보인다. 행정안전부는 성묘, 입산을 자제해 줄 것을 당부했다. 부득이한 경우 라이터 등 발화 물질은 아예 지참하지 않는 등 산을 찾는 이들의 특별한 주의가 요구된다.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