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사설]역대 최악의 '괴물 산불', 진압에 국가 역량 총동원해야

0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최대 초속 20m 강풍을 탄 ‘괴물 산불’이 영남권을 휩쓸고 있다. 인명 피해는 갈수록 커지고 있다. 경북 의성에선 산불을 끄던 헬기가 추락했다. 이재민 수만 명은 대피소로 몸을 피했다. 불길은 급기야 지리산 국립공원 안으로 파고들었다. 소중한 문화재도 불에 탔다.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 국무총리는 26일 대국민 담화에서 “역대 최악의 산불에 우리가 동원할 수 있는 모든 인력과 장비로 맞서고 있으나 상황은 심상치 않다”고 말했다. 건조한 날씨와 강풍이 겹치면서 언제 불길이 잡힐지 모른다. 정부와 정치권을 망라한 범국가적인 대응이 절실하다. 필요하면 민간단체나 기업의 도움도 받아야 한다.

정부는 산불이 난 지역에 재난사태를 선포하고, 소방청은 국가소방동원령을 발령했다. 산림청은 산불재난 국가위기 경보를 ‘심각’ 단계로 높였다. 그러나 체계적인 대응이 이뤄지고 있는지는 의문이다. 대피령에 따라 서둘러 길을 나선 주민들이 동해안 7번 국도로 한꺼번에 몰리자 도로는 아수라장이 됐다. 고령 사망자가 속출하고, 산불 진화대원 등이 목숨을 잃은 것도 안타까운 일이다. 현장에선 ‘전쟁터가 따로 없다’는 말이 나온다.

봄철 산불은 날이 갈수록 기승을 부릴 공산이 크다. 지구 온도는 산업화 이전에 비해 평균 1.5도 높아졌다. 자연 산림은 더 메말라졌다. 불씨가 날릴 ‘최적의 조건’이 갖춰진 셈이다. 연초 미국 캘리포니아주는 한 달 가까이 이어진 대형 산불로 곤욕을 치렀다. 산림청에 따르면 국내 산불은 1980년대 연평균 238건에서 2020년대(2020∼2023년) 580건으로 급증했다. 강원도에서 자주 발생하던 봄철 산불이 이번에 영남권을 휩쓰는 것도 예사로 볼 일이 아니다.

한 대행은 “최근 10년간 발생한 산불의 71%가 입산자 실화, 쓰레기 소각 등 개인의 부주의가 원인”이라고 말했다. 이번 산불도 성묘객 실화가 원인으로 추정된다. 만에 하나 다른 데서 추가로 산불이 나면 낭패다. 내달 5일 한식을 앞두고 성묘 행렬이 줄을 이을 것으로 보인다. 행정안전부는 성묘, 입산을 자제해 줄 것을 당부했다. 부득이한 경우 라이터 등 발화 물질은 아예 지참하지 않는 등 산을 찾는 이들의 특별한 주의가 요구된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이데일리 주요 뉴스

해당 언론사로 연결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