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정한 외관·고급스러운 실내
제네시스만의 승차감 극대화
소음·진동 없고 가속력 '감탄'
내연기관 대비 높은 가격은 '글쎄'
제네시스 GV70 전동화 모델. (사진=이데일리 이다원 기자)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제네시스 GV70 전동화 모델. (사진=이데일리 이다원 기자)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최근 제네시스 GV70 전동화 상품성 개선 모델을 타고 서울~경기 일대 약 80킬로미터(㎞)를 주행했다. 주로 시내를 주행했고 고속도로도 일부 거쳤다.
GV70 전동화 모델은 제네시스 브랜드가 내놓은 세 번째 전기차다. 2022년 3월 첫 출시 이후 3년이 지난 올해 1월 상품성 개선 모델이 등장했다.
디자인은 내연기관 모델과 마찬가지로 크게 바뀌지 않았다. 처음 만난 GV70 전동화는 제네시스 특유의 사선 ‘크레스트 그릴’이 막혀 있고 그라데이션 형태를 적용해 단정하면서도 남다른 느낌을 줬다. 인테이크 그릴도 정교하게 디자인해 GV70이라는 정체성을 또렷하게 드러냈다.
제네시스 GV70 전동화 모델 실내. (사진=이데일리 이다원 기자)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제네시스 GV70 전동화 모델 실내. (사진=이데일리 이다원 기자)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제네시스 GV70 전동화 모델 실내. 야간에 ‘밀키웨이’ 무드라이팅을 켜 봤다. (사진=이데일리 이다원 기자)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실내는 편안하고 아늑하다. 운전석에 앉으니 D컷 스티어링 휠이 스포티함을 강조하는 듯했다. 마치 대리석같은 내장재가 적용됐는데, 야간 주행 시 ‘밀키웨이’ 패턴 무드라이팅을 구현하며 색다른 느낌을 줬다. 낮에는 밝은색의 내장재와 어울려 고급스러운 느낌을 더한다. 내연기관 모델과 비교해 실내 공간이 더 넓다는 느낌이 들지는 않았지만 밝은색 시트가 실내 공간을 널찍하게 보이도록 했다.
제네시스 GV70 전동화 모델. (사진=이데일리 이다원 기자)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제네시스 GV70 전동화 모델. (사진=이데일리 이다원 기자)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가속 페달을 밟자 특유의 부드러운 움직임과 내연기관 모델보다 민첩한 가속감이 동시에 느껴졌다. 고속도로에 들어서니 전기차의 힘을 뽐내며 치고 나갔다. 차량 없는 도로에서 ‘부스트’ 모드도 활용해 봤다. 최고 360kW의 출력을 발휘해 로켓처럼 달려나갔다.
감속 시에는 자연스럽고 부드럽게 멈춰 서는 것도 장점이다. GV70 전동화는 회생제동 단계를 1단계부터 3단계까지 선택할 수 있는데, 가장 강한 단계에서야 전기차 특유의 꿀렁임이 나타날 정도로 이질감이 없었다. 회생제동을 내비게이션과 연동해 설정할 수 있는 점도 편리하다.
제네시스 GV70 전동화 모델에 적용된 전기차 특화 기능. 릴렉스 모드를 켠 상태. (사진=이데일리 이다원 기자)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GV70 전동화의 1회 충전 주행가능거리는 423㎞로 전 모델 대비 늘었다. 84kWh 용량 배터리를 탑재한 덕이다. 주행을 마친 뒤 평균 전비는 5.4㎞/kWh로 나타났고, 최고 6.2㎞/kWh를 기록하기도 했다. 회생제동 단계를 2단계로 고정한 결과다. 배터리 잔량이 55%일 때 주행 가능 거리는 232㎞였다.
제네시스의 전동화 기술력을 집결한 차라는 생각이 들었다. 전기차다운 특성보다는 원래 좋은 차인 GV70에 전기차의 장점을 더했다는 인상이다. 그래서인지 내연 모델과의 가격 차이도 상당하다. 제네시스 GV70 전동화 모델 가격(개별 소비세 3.5% 적용 기준)은 7530만원으로 내연기관 대비 2000만원가량 높다. 올해 기준 국고 보조금은 244만~260만원으로 책정됐다.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