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 주택가격 하락세에 채무부담 확대
수도권보다 고위험가구 비중 1.6%p 높아
“부실 위험 확대 가능성...모니터링 강화”
한국은행 제공.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파이낸셜뉴스] 비수도권 가계의 채무 상환 능력이 크게 저하됐다는 분석이 나왔다. 수도권에 비해 지방의 미분양 물량이 늘고 건설경기도 부진하면서 주택가격이 크게 떨어진 결과다. 특히 60세 이상 고령층 비중이 높은 지방의 특성상 고위험가구가 더 확대될 가능성이 커 부실 위험에 대비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26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금융안정 상황’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고위험가구는 2024년 기준 38만6000가구로 금융부채 보유가구의 3.2%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이 보유한 금융부채는 72조3000억원으로 전체 가구의 4.9%를 차지했다.
한은은 가계금융복지조사 자료를 활용해 금융부채를 보유한 가구 중 원리금 상환부담이 크고(DSR>40%), 자산매각을 통한 부채 상환이 어려운(DTA>100%) 가구를 고위험가구로 식별했다. 이때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은 원리금상환액을 이자비용 차감 전 처분가능소득으로 나누어 산정하고 자산대비부채비율(DTA)은 총부채금액을 자산평가액(자산 형태별 환금성을 고려한 회수율 적용)으로 나눠 산정했다.
소득 또는 자산 중 한 가지 지표 측면에서 상환능력이 부족한 가구 비중도 26.5%(318만가구)로 전체 금융부채의 34.8%(512조원)를 보유하고 있는 상태다. 한은은 “DSR이 40%를 초과하여 소득 측면에서 상환능력이 낮고 DTA가 100%에 근접(90~100%)한 가구가 전체 금융부채 보유가구의 0.7%(8만8000가구)를 차지하고 있어, 향후 지방을 중심으로 주택가격 하락 시 고위험가구로 편입될 가능성에 유의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우리나라 고위험가구의 DSR은 75.0%(중위값 기준), DTA는 150.2%(중위값 기준)로 분석돼 소득 및 자산 측면에서 채무상환 여력이 크게 저하된 것으로 평가됐다. 지방 고위험가구의 중위값 기준 DSR 및 DTA는 각각 70.9%, 149.7%로 수도권 고위험가구(78.3%, 151.8%)와 큰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으나, 지방의 고위험가구는 60세 이상 고령층 가구주 비중(18.5%)이 수도권(5.1%) 보다 높아 소득기반이 상대적으로 취약한 것으로 판단된다는 것이 한은의 설명이다.
한은은 지방의 경제성장이 수도권에 비해 부진한 가운데 최근 지방 주택가격의 하락세 등을 감안할때 향후 지방 고위험가구의 채무상환 부담이 증가될 가능성이 있다고 내다봤다.
한은은 “서울 등 수도권에 비해 미분양이 늘어나고 건설경기가 부진한 지역의 경우 고위험가구가 늘어날 가능성이 큰 것으로 판단된다”며 “이에 따라 지방 고위험가구를 중심으로 부실위험이 확대되지 않도록 관련 동향 및 정부대응 방안의 효과 등을 면밀히 모니터링할 필요가 있다”고 짚었다.
한국은행 제공.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eastcold@fnnews.com 김동찬 기자
Copyrightⓒ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