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이슈 끝없는 부동산 전쟁

지방 가구 100곳 중 5곳은 고위험...“주저앉은 집값에 상환능력 저하”

0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한국은행, 3월 금융안정 상황 점검
지방 주택가격 하락세에 채무부담 확대
수도권보다 고위험가구 비중 1.6%p 높아
“부실 위험 확대 가능성...모니터링 강화”


한국은행 제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파이낸셜뉴스] 비수도권 가계의 채무 상환 능력이 크게 저하됐다는 분석이 나왔다. 수도권에 비해 지방의 미분양 물량이 늘고 건설경기도 부진하면서 주택가격이 크게 떨어진 결과다. 특히 60세 이상 고령층 비중이 높은 지방의 특성상 고위험가구가 더 확대될 가능성이 커 부실 위험에 대비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26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금융안정 상황’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고위험가구는 2024년 기준 38만6000가구로 금융부채 보유가구의 3.2%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이 보유한 금융부채는 72조3000억원으로 전체 가구의 4.9%를 차지했다.

한은은 가계금융복지조사 자료를 활용해 금융부채를 보유한 가구 중 원리금 상환부담이 크고(DSR>40%), 자산매각을 통한 부채 상환이 어려운(DTA>100%) 가구를 고위험가구로 식별했다. 이때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은 원리금상환액을 이자비용 차감 전 처분가능소득으로 나누어 산정하고 자산대비부채비율(DTA)은 총부채금액을 자산평가액(자산 형태별 환금성을 고려한 회수율 적용)으로 나눠 산정했다.

한은의 분석 결과, 2024년 고위험가구의 수 및 금융부채 비중은 금리 상승 등의 영향으로 크게 높아졌던 2023년(3.5%, 6.2%)에 비해 하락(-0.3%p, -1.3%p)했으나 2022년에 비해서는 여전히 높은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가구수 기준으로도 장기평균(3.1%)을 상회하고 있다. 지역별로 보면 가구수 기준으로 고위험가구 비중은 수도권 3.4%(21만2000가구), 지방 3.0%(17만3000가구)이고 금융부채규모 기준으로는 수도권 4.7%(40조원), 지방 5.3%(32조2000억원)로 나타났다
소득 또는 자산 중 한 가지 지표 측면에서 상환능력이 부족한 가구 비중도 26.5%(318만가구)로 전체 금융부채의 34.8%(512조원)를 보유하고 있는 상태다. 한은은 “DSR이 40%를 초과하여 소득 측면에서 상환능력이 낮고 DTA가 100%에 근접(90~100%)한 가구가 전체 금융부채 보유가구의 0.7%(8만8000가구)를 차지하고 있어, 향후 지방을 중심으로 주택가격 하락 시 고위험가구로 편입될 가능성에 유의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우리나라 고위험가구의 DSR은 75.0%(중위값 기준), DTA는 150.2%(중위값 기준)로 분석돼 소득 및 자산 측면에서 채무상환 여력이 크게 저하된 것으로 평가됐다. 지방 고위험가구의 중위값 기준 DSR 및 DTA는 각각 70.9%, 149.7%로 수도권 고위험가구(78.3%, 151.8%)와 큰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으나, 지방의 고위험가구는 60세 이상 고령층 가구주 비중(18.5%)이 수도권(5.1%) 보다 높아 소득기반이 상대적으로 취약한 것으로 판단된다는 것이 한은의 설명이다.

한은은 주택가격의 하락이 고위험가구 증가 가능성을 높일 수 있다고 평가했다. 금리 및 주택가격 변동분과 주택가격 전망을 반영해 지방과 수도권의 고위험가구 비중(금융부채 기준)을 시산한 결과, 2024년 말 지방 및 수도권은 각각 5.4% 및 4.3%로 나타났으며, 올해 말에는 지방(5.6%)과 수도권(4.0%)의 고위험가구 비중 차이가 1.6%p까지 확대될 것으로 전망된다.

한은은 지방의 경제성장이 수도권에 비해 부진한 가운데 최근 지방 주택가격의 하락세 등을 감안할때 향후 지방 고위험가구의 채무상환 부담이 증가될 가능성이 있다고 내다봤다.

한은은 “서울 등 수도권에 비해 미분양이 늘어나고 건설경기가 부진한 지역의 경우 고위험가구가 늘어날 가능성이 큰 것으로 판단된다”며 “이에 따라 지방 고위험가구를 중심으로 부실위험이 확대되지 않도록 관련 동향 및 정부대응 방안의 효과 등을 면밀히 모니터링할 필요가 있다”고 짚었다.

한국은행 제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eastcold@fnnews.com 김동찬 기자

Copyrightⓒ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파이낸셜뉴스 주요 뉴스

해당 언론사로 연결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