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투자협회는 지난달 말 기준 ISA 가입자 수는 604만3000명, 가입금액은 36조5408억원으로 집계되었다고 31일 밝혔다.
ISA는 국내상장주식, 펀드 및 ETF, 리츠, 예·적금 등 다양한 금융상품을 하나의 계좌에 모아 투자할 수 있는 절세형 계좌다.
일정 기간 경과 후 계좌 내 금융상품 간 이익과 손실을 통산해 순이익을 기준으로 일반형 기준 최대 200만원(서민형은 최대 400만원)까지 비과세한다. 이를 초과하는 금액에 대해서는 9.9% 저율의 분리과세 혜택이 주어진다.
금융업권별 가입자 수는 증권사에서만 개설 가능한 투자중개형 인기에 힘입어 증권사가 510만명(84.3%)으로 가장 많았다. 예·적금 중심의 신탁형 가입 창구인 은행은 94만 7000명(15.7%)으로 2020년 말 178만 3000명 대비 절반 수준으로 감소했다.
ISA는 전 연령대에서 가입자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대적으로 금융투자상품에 친숙한 20·30세대 가입자 비중은 2020년 말 32.8%에서 지난달 말 40.1%로 상승했다.
ISA 유형별로는 20·30세대는 중개형(중개형 44%, 일임형 28%, 신탁형 20%)에서, 50대 이상은 신탁·일임형(신탁형 59%, 일임형 50%, 중개형 33%)에서 높은 비중을 차지했다.
가입자 성별로는 20·30세대는 남성(남성 131만명, 여성 111만명)이, 50대 이상은 여성 가입자(여성 123만명, 남성 101만명)가 많았다.
이환태 금융투자협회 산업시장본부장은 "ISA는 '재테크 만능통장'으로 불리며 국민의 자산 형성의 기회를 넓혀준 동시에, 실물경제 성장을 위한 마중물 역할을 해왔다"고 소개했다. 이어 "세제혜택 확대와 더불어 가입 가능 연령이 미성년자로까지 확장된다면, 국민 재테크 활성화와 자본시장 선순환 구조 강화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박형수 기자 parkhs@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