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합개발이 예정된 20개 필지 중 '제1호' 사업인 한국전력 변전소 개발사업이 시작된 것. 사업시행자인 서울시와 한국철도공사 등은 토지보상, 부지공급, 복합개발계획 수립 등을 빠르게 추진해 연내 착공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27일 서울시에 따르면 서울시와 한전, 코레일, SH공사는 이날 오후 서울시청 본관 8층 간담회장에서 '용산국제업무지구 전력공급부지 복합개발을 위한 업무협약식'을 체결한다.
현재 변전소 및 향후 공급예정부지 위치도 [자료=서울시]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이들 기관은 용산국제업무지구의 전력공급계획, 현 용산변전소 부지의 보상, 향후 전력공급부지 제공, 부지 복합개발 방향 등과 관련해 긴밀히 협력하기로 했다.
서울시에 따르면 용산국제업무지구는 최고 100층 랜드마크를 비롯해 대규모 업무시설이 도입될 예정인 만큼 2031년 이후엔 현 용산변전소에서 운영중인 154kV(킬로볼트) 규모 특고압 변전소 1개소에 더해 동일급 변전소 1개소에 대한 추가 신설이 필요하다.
각 기관은 1호 필지 복합개발의 원활한 추진을 위해 역할을 분담한다. 우선 서울시는 도시개발 방향성을 제시하고 실시계획 인가 및 착공 등 관련 행정적 지원에 최선을 다한다. 한전은 전력공급설비 예정부지 내 변전소 이설·신설로 구역 내 안정적인 전력공급을 도모하고 변전소의 지하화 및 업무시설 등 복합개발을 추진한다. 코레일과 SH공사는 용산변전소 부지에 대한 토지 보상을 추진하고 한전에 전력공급설비 예정부지를 원활하게 공급할 수 있도록 노력하며 변전소 이설·신설에 적극 협조한다.
복합개발 '제1호' 필지가 포함된 용산국제업무지구 도시개발사업은 올해 상반기 사업시행자가 용산구에 실시계획 인가를 신청할 예정이며 각종 행정절차 후 올해 10월 실시계획 인가 완료를 예상하고 있다. 이후 기반시설 착공 및 필지 분양을 추진하며 신규 변전소 전력공급은 2031년부터 시행 예정이다. 신규 변전소 가동 전까지는 현재 운영 중인 용산변전소에서 전력공급을 맡는다.
용산국제업무지구는 올해 말 도로, 공원 등 부지조성을 시작할 예정이다. 이어 필지를 분양받은 민간이 건축물을 짓기 시작하면 2030년대 초부터 기업과 주민이 입주할 수 있다.
임창수 서울시 미래공간기획관은 "이번 사업은 용산국제업무지구 도시개발사업 필지 공급의 시발점으로 토지보상 및 기반시설 부지공급·부지 복합개발 계획을 병행 추진해 기반시설을 조속히 착공하겠다"며 "나아가 용산국제업무지구 내 전력 신기술 도입을 통해 에너지 자립률을 극대화해 지속 가능한 미래도시 선도모델로 육성하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donglee@newspim.com
저작권자(c) 글로벌리더의 지름길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Newspim),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