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 매체, 김정은 국방과학 연구사업 현장 지도 보도
최근 꾸려진 조직으로 자폭형 AI무인기 등 개발 박차
러시아의 기술 이전으로 무기 현대화 가속화 분석
합참, 北 조기경보기 평가절하…"효용성 등 봐야"
조선중앙통신 등 북한 매체들은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지난 25~26일 무인항공기술연합체와 탐지전자전연구집단의 국방과학연구사업을 지도했다고 27일 보도했다. 무인항공기술연합체는 지난해 11월 처음 알려졌고, 탐지전자전연구집단은 이날 처음 호명된 최근 꾸려진 조직들이다.
조선중앙통신은 김 위원장이 새로 개발·생산 중인 각종 무인정찰기 및 자폭 공격형 무인기의 성능시험을 확인했다고 전했다. 그러면서 무인기의 위력을 과시하기 위한 여러 장의 사진도 공개했다.
사진에서 북한 공중조기경보통제기는 러시아의 수송기 일류신(Il)-76에 레이더 안테나의 방수·방진용 덮개인 레이돔이 올려진 형상이었다. 공중조기경보통제기는 항공기에 탑재된 탐색 레이더를 통해 적 항공기 뿐만 아니라 각종 미사일을 탐지·식별하고 아군의 전투기와 함정 등을 공중에서 지휘·통제하는 항공기다. 현재 우리 공군은 미국 보잉의 E-737 ‘피스아이’를 4대 운용하고 있다.
김 위원장은 공중조기경보통제기에 직접 탑승해 동행한 군 간부들에게 여러 지시를 내렸다. 공중조기경보통제기 내부 화면에는 한반도 지도가 띄워져 있다.
북한이 공개한 공중조기경보통제기 (사진=연합뉴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공중조기경보통제기에 탑승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공중조기경보통제기에 탑승해 군 관계자들에 지시를 하고 있다. 화면에는 한반도 지도가 띄워져 있다.(사진=연합뉴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김 위원장은 또 자폭 무인기들이 지상에 있는 전차 등을 타격하는 장면도 지켜보는가 하면, 미국의 글로벌호크(RQ-4)와 외형이 닮은 무인정찰기 비행 모습도 참관했다.
우리 군 당국은 북한이 러시아로부터 무인기 조종법이나 관련 전술, 제작 기술 등을 넘겨받은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특히 지난해 10월 러시아에 파병한 북한군이 우크라이나의 무인기 공격에 속수무책으로 당하는 일이 발생하면서 적극적으로 대응 전술을 마련한 것으로 보인다.
김 위원장은 지난해 11월 무인항공기술연합체에서 생산한 각종 자폭형 무인기 성능시험을 시찰하면서 대량 생산을 주문했고 그보다 앞선 지난해 8월에는 국방과학원 무인기연구소를 찾아 무인기에 AI 기술을 탑재하라고 지시했다. 이날 보도된 시찰은 이 두 번의 지시가 7개월 만에 달성됐음을 과시하기 위한 것으로 해석된다.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지난 25~26일 새로 개발·생산하고 있는 무인항공기술연합체와 탐지전자전연구집단의 국방과학연구사업을 지도했다고 조선중앙통신이 27일 보도한 사진이다. 김 위원장 뒤로 미국 글로벌호크 무인정찰기와 닮은 무인기가 보인다. (사진=연합뉴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지난 25~26일 새로 개발·생산하고 있는 무인항공기술연합체와 탐지전자전연구집단의 국방과학연구사업을 지도했다고 조선중앙통신이 27일 보도한 사진이다. 자폭형 무인기가 목표를 타격한 모습 (사진=연합뉴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하지만 우리 군은 북한의 공중조기경보통제기에 대해 평가 절하했다. 이성준 합동참모본부 공보실장은 이날 정례브리핑에서 관련 질문에 “오늘 공개한 개조된 조기경보기는 아직 정상 운영이나 그 효용성 측면에서 새로운 평가가 필요하다”면서 “굉장히 둔중하고 요격에도 취약할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