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확실성 커져… "각국, 의중 확인 총력"
'미 고위급 회담 성사' EU "세율 20% 예상"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26일 워싱턴 백악관에서 발언하고 있다. 워싱턴=AFP 연합뉴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내달 2일(현지시간) 발표를 예고한 상호관세 관련 입장을 또 바꿨다. 일부 국가를 면제하겠다던 며칠 전 발언을 뒤집고 다시 모든 국가에 적용하겠다고 밝힌 것이다. 극도의 불확실성 속에서 전 세계 국가들이 트럼프 대통령 의중 확인에 안간힘을 쓰고 있는 가운데, 유럽연합(EU)은 회원국에 부과될 관세 윤곽을 파악한 것으로 전해졌다.
"트럼프 관세 발표, 계획이 없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의 '자동차 25% 보편 관세 부과' 발표로 25일 미국 증시가 급락한 가운데, 미국 트레이더들이 뉴욕증권거래소에서 일하고 있다. 뉴욕=AFP 연합뉴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은 26일 백악관에서 '상호관세가 모든 나라를 대상으로 부과되느냐'는 질문을 받고 "모든 국가"라고 답했다. 이어 "많은 경우에 (상호)관세는 다른 나라가 수십 년간 미국에 부과했던 것보다 낮을 것"이라며 고율 관세는 일부 국가에만 매길 것이라고 덧붙였다.
그야말로 오락가락 행보다. 트럼프 대통령은 불과 이틀 전인 지난 24일 "많은 국가에 면제를 줄 수 있다"며 기존의 '보편 부과' 구상을 뒤집고 '선별 부과' 방침을 밝혔다. 그런데 상호관세 발표 일주일 전 또다시 보편 부과 방향으로 말을 바꾼 것이다. 블룸버그는 "트럼프가 관세 구상을 아무런 계획 없이 발표하고 있다"며 “아직 (상호)관세의 정확한 규모, 범위, 방법도 명확하지 않다"고 지적했다.
한국을 비롯한 대미 교역 흑자국들은 골머리를 앓고 있다. 앞서 스콧 베선트 미국 재무장관이 이른바 '더티 15(대미 흑자폭이 큰 상위 15% 국가군)'를 언급하며 해당 국가들을 겨냥한 표적 고율 관세 부과를 예고한 탓이다. 더티 15 국가 목록이 알려지진 않았으나, 지난달 미국 무역대표부(USTR)가 관보를 통해 '무역 불균형 파트너'로 한국 일본 중국 EU 등을 적시해 유럽과 아시아의 불안감이 커지고 있다고 미국 워싱턴포스트는 전했다.
발 빠른 EU, 각종 보복 조치 검토도
마로시 셰프초비치 유럽연합(EU) 무역·경제안보 담당 집행위원이 지난 10일 벨기에 브뤼셀에서 열린 기자회견에 참석해 있다. 브뤼셀=EPA 연합뉴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대응 태세 선두를 달리는 건 단연 EU로 보인다. 미국 정치전문매체 폴리티코에 따르면 EU는 트럼프 행정부가 △EU 27개 회원국에 상호관세율 20~25% 일괄 적용 △4월 3일 0시 발효 △철강·알루미늄·자동차 등 품목별 보편 관세에 가산 적용 등으로 대(對)EU 상호관세 부과 방침을 세웠다고 판단하고 있다. 지난 25일 마로시 셰프초비치 EU 무역·경제안보 담당 집행위원이 워싱턴에서 하워드 러트닉 미국 상무장관, 제이미슨 그리어 USTR 대표와 만나 대략적인 설명을 들은 결과다. 관세 부과 자체를 막지는 못했으나 다가올 공세의 규모를 파악하는 데엔 성공한 셈이다.
이러한 고위급 회담 성사는 "EU의 오랜 협상 시도의 일환"이라고 폴리티코는 강조했다. 보복 관세 구상을 앞세운 EU 협상 전략이 트럼프 행정부의 설명을 끌어냈다는 분석이다. 앞서 EU는 내달 1일부터 80억 유로(약 12조 원) 규모 미국산 수입품에 '50% 추가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밝혔다가 지난 19일 돌연 연기했는데, 이 과정에서 25일 미·EU 고위급 회담이 결정됐을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김현종 기자 bell@hankookilbo.com
곽주현 기자 zooh@hankookilbo.com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