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이버 검색 결과에서 AI 활용 정보 요약해 보여주는 기능 본격 도입
정답이 있는 답변은 최상단에, 여행 등 지역 정보의 경우 검색 결과 중간에 배치
답변 출처 함께 표시⋯여행의 경우 해 볼만한 활동 등 제안, 맛집 검색 바로 연계도
네이버에서 '기생충 결말'을 검색한 후 나온 'AI 브리핑' 화면 [사진=네이버]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27일 네이버에 따르면 이날부터 'AI 브리핑' 기능을 제공하기 시작했다. 이 기능은 네이버의 AI 기반 검색 기술을 활용해 검색어에 적합한 주제의 문서를 발췌하거나 요약해 제공한다. PC와 모바일 통합검색에서 별도 절차 없이 AI의 답변을 확인할 수 있다. 서비스 초기인 만큼 향후 다양한 주제에서 'AI 브리핑'을 볼 수 있도록 확대해 갈 전망이다.
어떤 유형의 검색을 하는 지에 따라 'AI 브리핑'이 뜨는 위치가 달라진다. 정답이 있는 답변이나 다양한 콘텐츠 탐색이 필요하다고 분류된 질의에 한해서는 검색 결과 화면 맨 위(최상단)에 'AI 브리핑'이 나온다. 여행 정보와 같은 지역 정보를 검색하는 경우, 검색 결과 화면을 내리면 중간에 'AI 브리핑'이 노출되는 식이다. 우선 일본 지역을 시작으로 다양한 국가의 여행지로 넓혀갈 예정이라고 회사 측은 설명했다.
네이버에서 '오사카 여행'을 검색한 후 나온 'AI 브리핑' 화면 [사진=네이버]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오사카에서 꼭 먹어봐야 할 음식'도 추천했다. 음식은 4가지를 제시했다. 이 중 하나인 '쿠시카츠'를 누르니 '오사카 쿠시카츠 맛집'을 확인해 볼 수 있는 검색 화면으로 바로 이어졌다. 이밖에 'AI 브리핑' 하단에서 오사카 야경을 볼 수 있는 명소, 호텔 등 지역 정보와 관련한 주제들을 함께 제시해 추가로 탐색해 볼 수 있도록 했다.
이러한 시도는 네이버 서비스(플랫폼)의 경쟁력을 한층 강화하기 위한 전략으로 풀이된다. 네이버의 주력 서비스인 검색에 AI를 접목한 신규 기능을 통해 더 다양하고 풍부하게 결과를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했다. 이로써 이용자가 네이버에서 더 오래, 많이(자주), 활발한 탐색 활동을 이어가도록 하는 것이다. 네이버에 앞서 구글도 한국어(한글) 지원을 확대하며 비슷한 기능인 'AI 개요'를 제공해 온 만큼 앞으로도 서비스 고도화 등 치열한 경쟁이 예상된다.
네이버 관계자는 "연내 다양한 질의에서 'AI 브리핑' 노출을 확대해 가는 한편, 이미지 검색을 통한 멀티모달 서비스 도입, 영어와 일본어 등 다국어 서비스 지원과 같은 새로운 기능을 순차적으로 선보일 것"이라며 "이용자가 새로운 AI 경험을 할 수 있도록 고도화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 아이뉴스24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