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캘리포니아 혼다 매장에서 미국 국기가 걸려있다. [AFP]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헤럴드경제=김빛나 기자] 미국의 수입차 추가 관세 부과로 일본 경제 전체가 엄청난 타격을 받게 될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니혼게이자이신문은 트럼프 대통령이 공언한 대로 미국이 내달 3일부터 수입차에 25% 추가 관세를 부과해 일본산 차량의 대미 수출길이 완전히 막힐 경우 최대 13조엔(약 126조원)의 경제 가치가 사라질 것으로 전망된다고 28일 보도했다.
이는 지난해 일본을 방문한 외국인이 소비한 금액보다 60% 많고, 일본 명목 국내총생산(GDP)의 2% 남짓에 해당하는 수치다.
이와 관련해 다이이치생명경제연구소는 이번 관세 조치 영향으로 일본의 실질 GDP가 최대 0.52% 하락하고, 일본 기업이 관세에 따른 추가 비용을 자동차 가격에 전가할 경우 미국 내 신차 판매량이 11.9% 감소할 것으로 추측했다.
요미우리신문에 따르면 미국에서 판매되는 연간 신차 판매 대수는 약 1천600만 대이며, 일본 업계 점유율은 약 30%였다.
노무라증권이 지난해 1∼10월 미국에서 판매된 일본 업체 차량의 미국 내 생산 비율을 분석한 결과를 보면 도요타자동차는 47%였고, 혼다와 닛산자동차는 각각 68%와 53%였다.
요미우리는 미국의 자동차 추가 관세로 도요타의 영업이익이 30% 정도 감소할 가능성이 있다면서 특히 마쓰다와 스바루가 직격탄을 맞을 수 있다고 예측했다.
노무라증권은 두 업체가 제조 거점과 부품 조달 기업을 재검토해야 한다는 압박을 받을 가능성이 크고, 마쓰다는 영업 적자가 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산케이신문은 일본 자동차 업계가 미국의 관세 방침에 대응할 대책이 결국 비용 절감, 가격 인상, 공급망 이전 등 세 가지라고 짚었다.
도요타를 비롯한 일본 업체들은 일단 경쟁력 유지를 위해 비용 절감에 집중할 것으로 보이지만, 트럼프 대통령이 수입차뿐만 아니라 외국에서 들여오는 자동차 부품까지 관세를 부과할 방침이어서 비용 절감 전략에는 한계가 있을 가능성이 크다.
마이니치신문은 “신규 공장 건설은 일반적으로 계획부터 4년 전후가 걸려 완성 시에는 정권이 바뀔 가능성이 있다”며 “미국 내 생산 증가에 따라 일본의 수출용 차량 생산이 줄어들면 산업 공동화로 이어질 수 있다”고 분석했다.
일본 자동차 업계 관계자는 마이니치에 “‘미국인가 일본인가’라는 두 가지 선택만 하고 싶지는 않다”면서도 뾰족한 해결책이 없다는 취지로 말했다.
일본 정부는 트럼프 대통령의 수입차 관세 방침에 유감을 표명하면서도 기존과 마찬가지로 일본이 제외되도록 끈질기게 협의를 진행하겠다고 밝혔다.
구체적으로는 자동차 등 공업 규격, 청소기와 드라이어 등 가전제품 안전기준, 농산물 검역이 일본 정부 내에서 논의되는 것으로 알려졌다.
아사히는 일본 정부가 이러한 비관세 장벽을 낮추면 미국산 제품 수입이 늘어날 수 있다는 것을 강조하려 하지만, 오히려 일본 내에서 ‘국민 안전을 볼모로 삼았다’는 등의 비판이 제기될 수도 있다고 짚었다.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