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의대생 대화 및 의개특위 해체 요구
박단 부회장 등록 의대생 비판에 “공식 입장 없어”
의대생 등록 마감일 코앞…연대·고대 대부분 등록
김성근 대한의사협회 대변인이 28일 서울 용산구 의협회관에서 정례브리핑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의과대학생 집단 제적 위기가 현실화되며 혼란이 가중되고 있는 가운데 대한의사협회는 “학생들이 독립적으로 결정할 것으로 믿고 존중한다”며 대처에 소극적인 태도를 보였다.
김성근 의협 대변인은 28일 오전 서울 용산구 의협회관에서 정례브리핑을 열어 “정부는 대통령 권한대행이 서신에서 언급한 것과 같이 신뢰를 바탕으로 학생들과 허심탄회하게 대화할 수 있는 자리를 마련하길 바란다”며 이같이 밝혔다.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 국무총리는 전날 ‘의과대학 학생 여러분께 드리는 글’이라는 제목의 서한을 통해 “정부는 여러분이 학업에 온전히 집중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데 집중하겠다”며 의대생들의 복귀를 촉구했다.
이에 대해 김 대변인은 “정부가 일방적인 밀어붙이기로 일관하면 공멸의 길만 남을 것”이라며 학생들과 정부가 대화할 자리를 마련할 것과 함께 대통령 직속 의료개혁특별위원회를 해체할 것을 요구했다. 김 대변인은 “정부는 진정한 의료개혁을 위해 방향타를 잃은 의개특위를 멈추고 제대로 된 의료개혁을 의료계, 국회와 함께 논의해야 한다”면서 “이것이 서로의 신뢰를 회복하는 시작이 될 것”이라고 주장했다. 각 의대 학장과 대학 총장을 향해선 “산불이라는 국가 재난사태와 겹쳐 전국의 의대생들 앞엔 제적이라는 재난적 상황이 닥쳐와 있다”며 “혼란을 가중시키지 않기를 바란다”고 했다.
박단 의협 부회장(대한전공의협의회 비상대책위원장)이 SNS를 통해 복귀 반대 입장을 낸 것과 관련해선 “글을 못 봤지만 의대생의 투쟁 방향에 대해 언급할 이유가 없으며 공식 입장이 없다”고 즉답을 피했다.
각 대학이 예고한 의대생 등록 마감 일자는 속속 다가오고 있다. 대부분의 대학은 이달 말 등록을 마무리하고 복귀 의사를 밝히지 않은 의대생을 제적 처리할 방침이다. 21일 등록을 마감한 연세대와 고려대의 경우 전체 재적생 중 80~90%가 등록 의사를 밝힌 것으로 알려지면서 다른 대학들도 미등록 학생들에 대한 제적 통보 일자를 연기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서울의대 학생들은 일단 등록 후 투쟁하는 방식을 택했다.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