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난임시술 4년간 36.7% 증가…평균 연령 38세

0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심사평가원, 국내 최초 난임시술 통계 발표

체외수정 임신율 36.9%, 인공수정 13%…연령 많을수록 감소

“35세 이전 가임력 검사 받고, 적기에 난임시술 이뤄져야”

연도별 난임시술 건수 현황.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제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지난 2019년부터 2022년까지 난임시술 건수가 36.7%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난임시술 대상자의 평균 연령은 37.9세이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은 26일 이 같은 내용이 담긴 난임시술 통계 책자를 발표했다. 이번 통계는 기존 급여명세서를 기반으로 산출했던 자료와 달리, 전체 난임시술 지정 의료기관으로부터 수집한 난임시술기록지를 바탕으로 분석이 이뤄졌다. 난임 원인, 시술 과정별 세부 산출 통계, 임신율 등의 내용을 다룬 것은 이번이 최초다.

통계에 따르면 2022년 난임시술을 시행한 기관은 201개소이며, 총 시술 건수는 20만7건이다. 난임시술 건수는 매년 증가하고 있으며, 2019년 대비 5만3653건(36.7%) 증가했다. 난임시술 유형을 보면 체외수정 시술 16만6870건(83.4%), 인공수정 시술 3만3137건(16.6%)으로, 인공수정 시술은 감소한 반면 체외수정 시술이 늘었다.

2022년 난임시술을 받은 대상자는 총 7만8543명이며, 난임시술 대상자의 평균 연령은 37.9세이다. 체외수정 시술은 35세~39세 비율이 34.2%로 가장 높고, 인공수정 시술은 30~34세가 43.0%로 가장 큰 비율을 보였다.

체외수정 시술로 인한 임신율은 평균 36.9%로, 25세~29세에서 가장 높았으며(48.4%) 연령이 증가할수록 감소했다. 인공수정 시술 임신율은 평균 13.0%였으며, 25세 미만(17.3%)에서 두드러졌다. 이 역시 나이가 들수록 낮아졌다. 임신율은 난임시술이 완료된 사례 중 초음파 검사에서 임신낭이 확인된 비율이다.

이정렬 분당서울대병원 산부인과 교수는 “초혼 연령 증가를 고려하면 난임 시술 인구는 앞으로도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며 “임신을 계획하고 있는 부부라면 적어도 35세 이전에 의료기관을 방문해 가임력 검사를 받고 자연임신 시도를 우선하되, 필요하다면 적기에 난임 시술을 받을 것을 권유한다”고 설명했다.

서희숙 심평원 의료자원실장은 “매년 정기적으로 국민에게 난임 관련 정보를 알기 쉽게 제공하고 난임 지원 정책 수립·연구에 필요한 다양한 통계 자료를 개발하겠다”고 전했다.

시술 유형별 임신율.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제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쿠키뉴스 주요 뉴스

해당 언론사로 연결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