푸틴 "우크라이나 분쟁 해결 위해 北과 협력"
루덴코 외무차관 "김정은 방러 준비 중" 언급도
우리 정부도 방러가능성에 "예단않고 주시 중"
북러 밀착 이어지는 가운데 군사기술 지원 등 우려도
28일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푸틴 대통령은 이날 러시아 북부 항구도시 무스만스크를 방문해 “러시아는 우크라이나와 3년 이상 지속한 분쟁에서 점진적이지만 확고하게 목표를 달성해 나가고 있다”며 이같이 밝혔다.
그는 이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관계를 개선하고 (우크라이나 관련) 분쟁을 해결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면서 “(트럼프 대통령이) 우크라이나에 평화를 가져오고자 하는 진정한 의지를 갖고 있다고 믿는다”고 말했다. 푸틴 대통령은 또 “러시아는 북한과 협력해 분쟁 해결을 위한 작업을 진행할 준비가 돼 있다”고 강조했다. 러시아와 우크라이나의 종전 협상에서 북한이 주요 행위자로 등장할 수 있다는 얘기다. 북한은 지난해 우크라이나 전쟁에 1만 1000여명을 파병했고 올해도 3000명 넘는 병력을 보낸 것으로 알려졌다.
지난해 6월 19일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왼쪽 가운데)은 북한 평양에 방문해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을 만났다.[뉴스1=노동신문 제공]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북러 관계의 밀착은 올해 김 위원장의 방러로 정점을 찍을 것이란 전망도 나온다. 이미 러시아 외무차관은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러시아 방문을 예고한 바 있다. 27일(현지시간) 러시아 타스, 리아노보스티 통신에 따르면 안드레이 루덴코 러시아 외무차관은 ‘러시아와 인도-양국 관계를 위한 새로운 의제를 위해’ 콘퍼런스에 참석해 “김 위원장의 러시아 방문을 준비 중”이라고 밝혔다. 다만 구체적인 방문 시기는 언급하지 않았다.
이미 지난 21일 푸틴 대통령의 최측근인 세르게이 쇼이구 러시아 국가안보회의 서기가 북한에서 김 위원장을 직접 만나 푸틴 대통령의 메시지를 전달했고, 당시 북러 정상회담 시기가 조율됐을 가능성도 제기됐다. 앞서 김 위원장은 지난해 6월 북한을 방문한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에게 모스크바에 방문해 달라는 초대를 받은 바 있는데다, 올해 러시아는 대대적인 전승절을 준비하고 있어 이 자리에 김 위원장이 방문할 가능성도 점쳐지고 있다. 방러가 성사될 경우 2023년 9월 블라디보스토크 방문 이후 2년 만에 이뤄지는 것이다.
하지만 북러 밀착이 이어지는 점은 우리 정부로선 부담이 클 수밖에 없다. 우리 정부는 북한군의 불법 파병과 관련한 반대급부를 북한이 얻어선 안 된다고 수차례 국제사회에서 밝힌 바 있다. 특히 북러 밀착 군사 밀착으로 핵능력 고도화에 대해서도 견제해야 하는 상황이다. 지난 8일 북한은 김 위원장이 핵추진 잠수함 개발현장을 방문한 사진을 공개한 바 있다. 당시 조선중앙통신은 “김 위원장이 당 제8차 대회 결정에 따라 추진되고 있는 핵동력전략유도탄잠수함 건조 실태도 현지에서 료해(파악)했다”고 전했다. 핵동력전략유도탄잠수함은 잠수함발사탄도미사일(SLBM)을 탑재한 핵추진잠수함, 즉 전략핵잠수함(SSBN)을 가리키는 것으로 보인다. 물론 러시아가 지원을 한다고 해도 북한의 능력으로 핵추진 잠수함 건조는 어렵다는 게 미국 전문가들의 중론이지만, 러시아의 대북 군사기술 지원은 견제해야 한다는 평가다 .
홍민 통일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이달) 공개된 수상함은 러시아의 그리고로비치급 호위함과 유사하다”며 “2023년 북러정상회담 당시 김 위원장의 러시아 태평양함대 방문 등을 통해 그리고로비치급 호위함과 유사한 모델 건조와 관련한 북러 협력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고 말했다.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핵추진 잠수함 건조 실태를 시찰했다고 조선중앙통신이 지난 8일 보도했다. [조선중앙통신=연합뉴스 제공]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