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윤찬 앞세운 통영국제음악제 28일 개막
내달 2일엔 교향악단 총출동 ‘교향악축제’
내달 22일 대니구 등판 서울스프링실내악축제
피아니스트 임윤찬 [통영국제음악재단 제공]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헤럴드경제(통영)=고승희 기자] ‘통영엔 임윤찬, 서울엔 대니구’.
어김없이 다시 온 봄엔 유달리 ‘반가운 손님’이 많다. 클래식계 스타들로 거듭난 얼굴이 올봄 서울과 통영에서 ‘클덕’(클래식 덕후)들을 만난다. 저마다 고심해 내놓은 진수성찬이 통영에서 시작해 서울로 당도할 때쯤 관객들의 마음도 향긋해 질 듯 하다.
3월의 마지막 금요일, ‘클래식 축제’계의 대명사 격인 통영국제음악제(3월 28일~4월 6일)가 시작된다. 올해엔 특별한 손님과 함께 한다. 불과 3년 사이 한국 클래식 음악계의 대표 주자로 자리한 피아니스트 임윤찬(21)이 통영의 ‘얼굴’이 됐다.
임윤찬과 통영의 인연이 깊다. 통영음악재단은 2019년 윤이상국제콩쿠르 우승자로 15살의 임윤찬을 낙점했다. 역대 최연소 우승이었다. 이후 2022년 미국 반클라이번 국제 피아노 콩쿠르에서 역대 최연소 우승을 차지한 뒤 ‘피아노 스타’가 된 그의 금의환향 무대다.
임윤찬은 축제 동안 두 번의 무대에 선다. 라흐마니노프 피아노 협주곡 2번의 협연으로 개막 공연을 하고, 오는 30일엔 바흐의 ‘골든베르크 변주곡’, 19살 작곡가 이하느리에게 위촉한 신작 ‘라운드 앤드 벨버티-스무드 블렌드…’(…Round and velvety-smooth blend…)를 연주한다. 이하느리는 한국예술종합학교에 재학, 지난해 버르토크 작곡 콩쿠르에서 우승하며 이름을 알렸다.
KBS교향악단 [예술의전당 제공]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또 다른 상주음악가는 스페인 출신 첼리스트 파블로 페란데스다. 그는 오는 29일 연주에서 앙리 뒤티외 첼로 협주곡 협주곡 ‘아득히 먼 나라...(Tout un monde lointain...)’를 협연하고, 30일 피아니스트 선우예권과의 듀오 연주회, 31일 파비앵 가벨이 지휘하는 ‘베르비에 페스티벌 체임버 오케스트라’와의 협연도 함께 한다.
‘내면으로의 여행(Journey Inwards)’을 주제로 한 이번 음악제엔 윤이상 타계 30주년을 맞는 윤이상의 작품과 탄생 100주년을 맞는 작곡가 및 지휘자 피에르 불레즈의 주요 작품들이 연주된다.
진은숙 예술감독은 “전 세계가 정치경제적으로 불안정하고 많은 것을 견뎌야 하는 상황”이라며 “통영국제음악제에 와 음악을 듣는 이 순간만이라도 자신의 내면으로 여행해 각자가 자기 자신을 해로 찾아가는 기회가 되지 않을가 하는 희망으로 ‘내면으로의 여행’을 주제로 삼았다”고 했다.
세계 유일의 교향악축제도 한국에서 막을 올린다. 1989년 시작, 올해로 38주년을 맞은 예술의전당 교향악축제(4월 1일~20일까지)다. 올해는 ’새로운 출발‘이라는 부제를 달았다. 지난 2000년부터 함께 했던 한화그룹의 후원이 마무리된 후 맞는 첫 축제이기 때문이다.
교향악축제는 국내 유수 오케스트라의 경쟁의 장이기도 하다. 18개의 교향악단이 매일 등판해 그간 쌓아온 내공을 쏟아내는 자리다. 올해엔 역대 최다 협연자, 한국 클래식계를 이끌 MZ(밀레니얼+Z) 세대 지휘자들이 대거 출격한다.
특히 윤한결(국립심포니오케스트라), 김선욱(경기필하모닉오케스트라), 데이비드 이(강남심포니) 등 8090세대 지휘자들을 주목할 만하다. 해외 오케스트라에서 활약하는 연주자들도 함께 한다. 박지윤(라디오프랑스필 악장), 김민주(함부르크필 바순 수석), 신경식(2024 막스 로스탈 콩쿠르 우승), 임채문(런던심포니 더블베이스 단원) 등이다.
주목할 프로그램은 라벨 탄샐 150주년, 쇼스타코비치 서거 50주년을 기념한 ‘희귀 레퍼톨’의 향연이다. 각 악단마다 다른 해석과 색채의 라벨과 쇼스타코비치를 만날 기회다. 개막 당일 김건 지휘자가 이끄는 창원시립교향악단이 피아니스트 문지영과의 협연으로 라벨 ‘왼손을 위한 피아노협주곡 D장조 M.82’와 쇼스타코비치 교향곡 제10번을 들려준다. 다음날 인천시향은 정한결의 지휘로 라벨이 편곡한 무소륵스키 ‘전람회의 그림’을, 청주시향(9일)은 쇼스타코비치 교향곡 1번, 대전시향은 쇼스타코비치 교행곡 11번 1905년을 연주한다.
스무살 된 서울스프링실내악축제…‘20의, 20에 의한, 20을 위한’
어느덧 성년이 됐다. 올해로 스무 살이 된 서울스프링실내악축제(SSF, 4월 22일~5월 4일까지)다. 바이올리니스트 강동석 예술감독과 서울시가 2006년 첫 발을 내디딘 이 축제는 클래식 장르 중에서도 가장 소외 장르라 할 수있는 ‘실내악’을 수면 위로 꺼내온 음악제다. ‘실내악의 편견’을 깨기 위해 부단히 힘써왔다. 지난 20년간 289회의 공연, 403명의 아티스트가 무대에 올랐다.
올해의 방점은 ‘20’. 주제는 스무개의 촛불을 의미하는 ‘20 캔들스’다. 지난해 SSF의 최고 인기스타 대니구가 함께 하는 무대는 스무 명의 음악가를 하루동안 만날 수 있는 공연이다. 대니구를 비롯해 첼리스트 주연선, 바이올리니스트 한수진, 피아니스트 김규연이 함께한다.
서울스프링실내악축제 [SSF 제공]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강동석 예술감독은 “SSF는 그동안 선두에서 국내 실내악의 발전을 선도해왔고 그 결과 이제 실내악은 한국 음악계에서 확고한 위치를 차지하게 됐다”며 “앞으로의 10년은 한국 실내악의 황금기가 되길 바란다”고 했다.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