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시진핑 만난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 방중 질문에는 침묵(종합)

0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시진핑 中주석 면담 후 귀국

방중 질문엔 '묵묵부답'

국내선 리더십 공백 문제 산적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이 일주일간의 중국 출장을 마치고 28일 김포공항을 통해 귀국했다.

이 회장은 이날 오후 서울 강서구 서울김포비즈니스항공센터에서 중국 출장 소감을 묻는 취재진의 질문에 아무 말도 답하지 않은 채 차에 올라탔다. 그는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의 만남, 삼성전자의 반도체 위기론을 묻는 질문에도 묵묵부답이었다.

이 회장은 앞서 오전 11시(현지시간) 중국 베이징 인민대회당에서 열린 시 주석과의 글로벌 최고경영자(CEO) 면담에 참석한 후 바로 귀국길에 올랐다. '국제공상계 대표 회견'이라는 이름의 이날 회동은 중국발전고위급포럼(CDF)과 연계된 공식 행사로, 이날 이 회장과 곽노정 SK하이닉스 사장을 포함한 글로벌 기업 CEO 30여명이 회동한 것으로 전해졌다.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을 만난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이 28일 서울 강서구 김포공항 비즈니스항공센터를 통해 귀국 하고 있다. 2025.3.28. 강진형 기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이 회장은 지난 22일 베이징 샤오미 전기차 공장을 찾고 24일에는 남부 광둥성 선전에 있는 세계 최대 전기차 업체 BYD(비야디) 본사를 방문하는 등 중국 전장 사업 확대 행보를 이어갔다. 이를 두고 중국이 자국 반도체 산업을 확대할 파트너로 한국 기업을 지목했다는 해석도 나온다. 향후 삼성전자가 중국과의 협력을 본격적으로 확대할 가능성도 점쳐진다.

한편 이 회장과 곽노정 SK하이닉스 사장이 나란히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을 만난 것을 두고 중국이 한국 메모리 반도체 기업에 전략적 '러브콜'을 보낸 장면이라는 해석도 나온다. 미국의 대중 반도체 수출 규제가 장기화하는 상황에서 첨단 기술 확보에 대한 중국의 절박한 이해관계가 고스란히 드러났다는 평가다.

삼성과 하이닉스가 시 주석과 직접 마주한 장면은 중국의 메시지를 분명히 드러냈다는 해석이다. 미·중 기술패권 경쟁이 격화되고 외국인 직접투자가 급감하는 상황에서, 중국은 자국 반도체 산업의 숨통을 틔울 현실적인 파트너로 한국 기업을 지목했다. 미국의 대중 반도체 수출 규제로 고성능 메모리 확보에 제동이 걸린 중국으로서는, 생산 기지와 기술을 모두 보유한 한국 기업과의 협력 복원이 절실하다.

삼성전자는 중국 시안에서 낸드플래시를, SK하이닉스는 우시와 다롄에서 D램과 낸드플래시를 생산하고 있다. 두 기업 모두 미국의 반도체 장비 수출 규제에 따라 중국 내 공장에 대한 장비 반입이 제한되지만, 현재는 검증된 최종사용자(VEU) 지정을 통해 장비를 도입하고 있다. 이후 미국 정부가 수출 통제를 재개할 경우 중국 내 생산에 차질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는 중국 첨단 산업 전반에 직접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

시 주석은 이날 "중국은 외국 기업에 이상적이고 유망한 투자처"라며 "법에 따라 동등한 시장 참여를 보장하겠다"고 밝혔다. 이어 "다른 사람의 불빛을 꺼서 내 불빛이 더 밝아지지는 않는다"며 미국의 기술 봉쇄 전략을 우회적으로 비판했다. 이는 한국 반도체 기업들을 향해 중국을 떠나지 말라는 우회적인 메시지로 읽힌다.

업계 관계자는 "삼성과 하이닉스는 중국 내에서 결코 단순한 외자 기업이 아니다"며 "중국 반도체 생태계가 유지되기 위해 꼭 필요한 핵심축으로, 시 주석이 이들을 직접 만난 것은 중국의 절박함을 그대로 드러낸 것"이라고 말했다.

또 다른 관계자는 "중국은 여전히 한국 반도체 사업의 핵심 시장인 만큼 이번 만남은 현지 파트너십과 협력을 강화하려는 신호로 볼 수 있다"며 "미·중 갈등이 지속되는 상황에서 민간 기업 입장에서도 중국 정부와의 관계를 원만히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고, 이는 한국 반도체 기업으로서도 사업 안정성과 지속 가능성을 확보하기 위한 전략적 행보로 볼 수 있다"고 말했다.

한편으론 삼성전자의 리더십 위기론이 계속되는 가운데 해결해야 할 과제도 산적해 있다. 이 회장이 방중 중이던 지난 25일 한종희 삼성전자 부회장이 별세하면서 한종희·전영현(DS부문장) 투톱 체제에서 리더십 공백 상태를 맞게 됐다. 삼성전자는 당분간 전 부회장 1인 대표 체제를 유지할 것으로 보인다.

박준이 기자 giver@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아시아경제 주요 뉴스

해당 언론사로 연결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