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앵커 ▶
경북 북동부 5개 시군으로 확산된 의성산불은 확산 속도도 시간당 8.2km로 역대 최고치를 기록한 것으로 분석됐습니다.
사람이 뛰는 속도보다도 훨씬 빠른 수준입니다.
엄지원 기자가 전해드리겠습니다.
◀ 리포트 ▶
고택 체험지로 유명한 안동 지례예술촌도 화마를 피하지 못했습니다.
360년이 넘는 종택과 지산서당 등 10동 125칸의 주택 시설 가운데 유일하게 사당, 관리사만 남았습니다.
이곳은 40년 전 안동 임하댐 수몰 당시, 마을 뒷산으로 옮겨 지은 의성 김씨 지촌파의 종택이 있던 자리입니다.
후손들은 그 당시 고향을 잃는다는 아픔을 딛고 주춧돌 하나 기와 하나를 그대로 옮겨 지은 건데 지금은 모두 불에 타 잿더미로 변했습니다.
[김수형/의성김씨 지촌공파 차종손·지례예술촌 대표]
"그래도 종가가 있다 하고 한 40년 동안 고향은 없어졌지만 살아 보려고 했는데 힘드네요. 문중 사람들도 충격을 많이 받고 다 우시니까…"
불이 지나간 안동시 임동면의 한 마을입니다. 제 뒤로는 집들이 모두 불에 탔고, 창고의 농기계들도 차량도 모두 불에 녹아내려 뼈대만 남은 상태입니다.
의성 산불의 피해가 큰 것은 태풍급 강풍이 산불 확산속도를 높였기 때문입니다.
실제 산불이 시작된 지난 22일부터 열 탐지 분석을 통해 산불 확산속도를 계산했는데, 시간당 8.2km로 확인됐습니다.
이는 국내 산불 가운데 가장 빠르게 번진, 2019년 고성 산불의 확산속도 시간당 5.2km보다 1.5배에 빠르고, 사람이 뛰는 속도보다도 훨씬 빠릅니다.
[원명수/국가산림위성정보활용센터장]
"24일까지 산불이 의성지역에 근처에 머물고 있다가 25일 날 오후 오전 3시부터 영덕까지 약 한 12시간 이내에 51km가 이동을 한 아주 빠른 풍속에 의해서 확산된 그런 사례…"
의성 산불은 여전히 강한 바람을 타고 계속 동진하고 있습니다.
MBC뉴스 엄지원입니다.
MBC 뉴스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 전화 02-784-4000
▷ 이메일 mbcjebo@mbc.co.kr
▷ 카카오톡 @mbc제보
엄지원 기자(umkija@andongmbc.co.kr)
ⓒ MBC&iMBC 무단 전재, 재배포 및 이용(AI학습 포함) 금지
경북 북동부 5개 시군으로 확산된 의성산불은 확산 속도도 시간당 8.2km로 역대 최고치를 기록한 것으로 분석됐습니다.
사람이 뛰는 속도보다도 훨씬 빠른 수준입니다.
엄지원 기자가 전해드리겠습니다.
◀ 리포트 ▶
고택 체험지로 유명한 안동 지례예술촌도 화마를 피하지 못했습니다.
이곳은 40년 전 안동 임하댐 수몰 당시, 마을 뒷산으로 옮겨 지은 의성 김씨 지촌파의 종택이 있던 자리입니다.
후손들은 그 당시 고향을 잃는다는 아픔을 딛고 주춧돌 하나 기와 하나를 그대로 옮겨 지은 건데 지금은 모두 불에 타 잿더미로 변했습니다.
[김수형/의성김씨 지촌공파 차종손·지례예술촌 대표]
"그래도 종가가 있다 하고 한 40년 동안 고향은 없어졌지만 살아 보려고 했는데 힘드네요. 문중 사람들도 충격을 많이 받고 다 우시니까…"
의성 산불의 피해가 큰 것은 태풍급 강풍이 산불 확산속도를 높였기 때문입니다.
실제 산불이 시작된 지난 22일부터 열 탐지 분석을 통해 산불 확산속도를 계산했는데, 시간당 8.2km로 확인됐습니다.
이는 국내 산불 가운데 가장 빠르게 번진, 2019년 고성 산불의 확산속도 시간당 5.2km보다 1.5배에 빠르고, 사람이 뛰는 속도보다도 훨씬 빠릅니다.
"24일까지 산불이 의성지역에 근처에 머물고 있다가 25일 날 오후 오전 3시부터 영덕까지 약 한 12시간 이내에 51km가 이동을 한 아주 빠른 풍속에 의해서 확산된 그런 사례…"
의성 산불은 여전히 강한 바람을 타고 계속 동진하고 있습니다.
MBC뉴스 엄지원입니다.
MBC 뉴스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 전화 02-784-4000
▷ 이메일 mbcjebo@mbc.co.kr
▷ 카카오톡 @mbc제보
ⓒ MBC&iMBC 무단 전재, 재배포 및 이용(AI학습 포함)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