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고환율 속 수익 노렸나…경제수장 최상목, 美 국채 베팅 논란

0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최상목 경제부총리. 기획재정부 제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최상목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지난해 2억원 상당의 ‘미국 30년 만기 국채’에 투자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간 당국은 글로벌 강달러에 12·3 비상계엄 여파까지 겹치면서 고공행진해 온 원·달러환율을 잠재우고자 ‘환율 방어’에 힘을 쏟아왔는데, 정작 경제수장은 원화를 팔고 달러에 투자해왔다는 지적이 나온다.

지난 26일 공개된 ‘공직자 재산공개’에 따르면 최 부총리는 지난해말 기준 본인과 배우자 등 가족 명의로 총 44억6500만원의 재산을 신고했다. 1년 전보다 약 2억원 늘어난 규모다.

특히 미국채 30년물인 ‘T1.375 08/15/50’을 매수해 연말 재산신고 시점에 1억9712만 원을 보유한 것으로 나타났다. 해당 채권은 미국 재무부가 2020년에 발행해 2050년에 만기가 도래하는 미국 30년 만기 채권 상품이다.

최 부총리는 앞서 2년전 인사청문회 때도 미국채 보유가 문제되자 “처분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당시 문제가 되자 팔았다가 이번에 다시 매수한 것이다.

정치권에선 최 부총리의 처신이 부적절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소속 오기형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미국 국채 투자는 원·달러 환율이 급등하고 우리 경제가 악화될수록 이득을 본다”며 “일반 개인의 미국 국채 투자는 문제되지 않으나, 한 국가의 경제 책임자로서는 부적절하며 해명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최 부총리는 법적으로 문제가 없다는 입장이다. 최 부총리 측은 “미국채를 구입하는 것 자체가 공직자윤리법이나 다른 규정상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라고 밝혔다.

한편, 28일 환율은 1470원에 바짝 다가선 상태다. 하나증권은 이날 환율이 2분기까지 상승세를 이어가며 1500원 안팎까지도 오를 수 있다고 내다봤다.

전규연 하나증권 연구원은 “미국 트럼프 행정부의 대외 강경 기조가 지속될수록 여타 국가들도 무역망 다변화, 자국 우선주의적 정책 추구 등을 통해 대미 외교 및 무역에 대한 의존도를 줄이며 정책을 전환할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다.

다만 “이러한 변화들이 중장기적인 흐름을 일부 조정할 수 있겠지만 당장 관세 부과로 인해 각국 수출이 타격을 입는 것은 막을 수 없다”며 “당분간 미국보다 비(非)미국 경제의 하방 위험이 더 크게 부각될 가능성이 높다”고 지적했다.

이진우 기자 realstone@segye.com

ⓒ 세상을 보는 눈, 세계일보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세계일보 주요 뉴스

해당 언론사로 연결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