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유산청 28일 오후 5시 집계 기준
국가지정 유산 11건·시도시정 유산 19건
안동 세덕사·청송 송정고택도 피해 입어
산청 덕산사 대응 현장(사진=국가유산청)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28일 국가유산청에 따르면 이날 오후 5시까지 집계된 국가유산 피해사례는 총 30건(국가지정 11건, 시도지정 19건)으로 파악됐다.
피해사례는 이날 오전 11시 기준 집계치보다 3건 증가했다. 조사 결과 경북 안동 ‘안동 임호서당’이 일부 소실됐으며, 경북 안동 ‘안동 세덕사’는 부분 소실됐다. 경북 청송 ‘청송 송정고택’은 화장실이 일부 소실됐다.
‘안동 임호서당’은 운천 김용(1557~1620)을 기리고자 안동 유림과 후손들이 뜻을 모아 1853년 건립한 서원이다. 1862년 임하현 남쪽 약사촌으로 이건 후 서원철폐령으로 훼철됐다가 1921년 임천서원의 옛 위치인 현 위치에 재건됐다.
‘송정고택’은 조선 후기 만석꾼이었던 송정 심상광의 살림집으로, 당시 상류사회의 전통가옥 형태를 잘 간직하고 있다는 평가를 받는다.
앞서 오전 11시 발표를 통해서는 조선 후기 정자인 경북 안동 ‘약계정’, 묘역 인근에 건립된 조선 후기 재사(齋舍)인 경북 청송 ‘청송 기곡재사’와 ‘청송 병보재사’가 전소된 사실이 확인됐다. 통일신라시대 불상인 ‘만장사석조여래좌상’이 일부 그을림 피해를 입은 내용도 확인됐다.
산청 덕산사 대응 현장(사진=국가유산청)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국가지정유산 피해 사례 세부 현황을 살펴보면 국가지정유산 중에서는 △보물 2건(경북 의성 ‘의성 고운사 연수전’·‘의성 고운사 가운루’), △명승 3건(강원 정선 ‘백운산 칠족령’·경북 안동 ‘안동 만휴정 원림’·‘안동 백운정 및 개호송 숲 일원’), △천연기념물 3건(울산 울주 ‘울주 목도 상록수림’·경북 안동 ‘안동 구리 측백나무숲’·경북 영양 ‘영양 답곡리 만지송’), △국가민속문화유산(경북 청송 ‘청송 송소고택’·‘서벽고택’·‘서남고택’) 3건 등 11건이 피해를 봤다.
국가유산청은 산불 피해 현장에 750여 명을 투입해 예찰 및 긴급조치를 실시하고 있다. 이 가운데 주요 사찰·종가 소장유물 24건(1581점)을 분산 이전했고, 46건에 대해선 방염포를 설치했다. 산불 피해 방지를 위한 국가유산 주변 예방 살수와 방화선 구축 등의 작업도 전개하고 있다.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