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티이미지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기업이 한국전력을 거치지 않고 전기를 도매가격(SMP)에 구매할 수 있는 '전력직접구매'가 시행된다. 전기 판매 시장에서 한전의 독점체제가 깨진 것으로 급등한 산업용 전기요금을 고려하면 다수 기업이 탈(脫)한전 대열에 합류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산업통상자원부 전기위원회는 28일 '전력직접구매제도 정비를 위한 규칙개정(안)'을 의결했다.
전력직접구매는 기업이 전력거래소로부터 시장계통가격(SMP)에 직접 전기를 구매할 수 있는 제도다. 근거는 전기사업법으로 수전설비 용량이 3만킬로볼트암페어(kVA) 이상인 대규모 전기 소비처가 대상이다.
전력직접구매는 근거가 있었음에도 시도는 없었다. 한전이 전기를 원가 이하로 판매하면서 직접구매에 따른 실익이 없었다. 그러나 산업용 전기료가 오르면서 상황이 바뀌었다. 한전은 2020년 12월 이후 8회 인상했는데 이 기간 인상률은 70%에 이른다. 전기료 부담이 커지면서 탈한전을 고심하는 소비처가 늘어난 가운데 지난해 말 SK어드밴스드가 최초로 신청했다. 이에 전력 당국은 운영에 필요한 규정 재정비를 위해 규칙개정안을 마련했고 이날 전기위원회가 심사했다. 전력직접거래 시행 여부가 사실상 결정된다는 점에서 결과에 관심이 모아졌다.
현 산업용 전기료를 감안하면 SK어드밴스드의 뒤를 잇는 기업도 늘어날 전망이다. 200조원이 넘는 부채로 인해 한전이 당분간 전기요금을 인상, 동결할 공산이 크기 때문이다.
한전은 대형 악재를 만났다. 한전은 2021년~2023년 43조원대의 누적 영업 적자를 냈는데 당시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으로 급등한 연료비를 요금에 반영하지 못한 결과다. 최근 요금 인상으로 쌓인 손실을 만회하기 시작하자마자 주요 고객의 이탈을 우려해야 하는 상황에 부닥쳤다.
한전 관계자는 “원가 이하로 전기를 사용하다 요금 인상 이후 직접구매로 돌아서는 기업이 늘어나는 것은 또 다른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면서 “그간 대기업이 누린 전기요금 혜택이 한전의 손실로 남은 상황에서 이는 가정용, 중소기업 요금에 전가될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전력 분야 전문가는 “이번 조치로 전기 판매 시장에 경쟁이 도입됐다”면서 “한전도 가격 체계 개편 등 변화가 불가피해졌다”고 말했다.
[Copyright © 전자신문. 무단전재-재배포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